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
정확한 계량은 맛있게 만들게 해주며 적절한 양을 조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항상 계량하는 습관을 통해 우리 가족에게 필요한 분량의 음식을 만들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면서 동시에 풍부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 1곡류, 채소, 과일류, 어육류,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자
- 2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 3건강 체중을 위해 활동량을 늘리고, 알맞게 섭취하자
- 4식사는 즐겁게 하고, 아침을 꼭 먹자
- 5술을 마실 때는 그 양을 대폭 제한하자
- 6음식은 위생적으로 필요한 만큼 준비하자
- 7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식생활을 즐기자
성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
채소, 과일, 우유 제품을 매일 먹자
- 여러 가지 채소를 매일 먹습니다.
- 다양한 제철 과일을 먹습니다.
-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우유 제품을 간식으로 먹습니다.
지방이 많은 고기와 튀긴 음식을 적게 먹자
- 고기는 기름을 떼어 내고 먹습니다.
- 튀기거나 볶은 음식을 적게 먹습니다.
- 등 푸른 생선을 자주 먹습니다.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 장아찌, 젓갈과 같은 짠 음식을 적게 먹습니다.
- 음식을 만들거나 먹을 때 소금이나 간장을 적게 사용합니다.
- 국과 찌개의 국물을 적게 먹습니다.
활동량을 늘리고, 알맞게 섭취하자
- 운동은 1회 30분 이상, 1주 3-4회이상 실천합니다.
- 생활 속에서의 신체 활동을 늘립니다.
- 단 음식과 단 음료를 제한합니다.
- 건강 체중을 유지합니다.
술을 마실 때는 그 양을 대폭 제한하자
- 되도록 음주를 피합니다.
- 남자는 하루2잔, 여자는 1잔 이내로 제한합니다.
(2잔은 소주로는 3잔, 맥주로는 2캔, 양주로는 2잔에 해당됩니다.) - 임산부나 청소년은 절대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즐겁게 하자
- 아침을 거르지 않습니다.
- 저녁 식사는 가족과 함께 즐겁게 합니다. (음식은 먹을 만큼 준비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자)
- 음식은 먹을 만큼 만들거나 주문합니다.
- 남은 음식은 바로 냉장 보관하고, 오래 두지 않습니다.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식생활을 즐기자
- 밥과 다양한 반찬을 갖춘 식사로 영양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 지침
채소, 고기나 생선, 콩 제품 반찬을 골고루
- 다양한 채소 반찬을 매끼 먹습니다.
- 고기나 생선, 계란, 콩 제품 반찬을 매일 먹습니다.
우유 제품과 과일을 매일 먹자
- 우유, 요구르트나 두유를 매일 먹습니다.
- 다양한 제철 과일을 먹습니다.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 장아찌, 젓갈과 같은 짠 음식을 적게 먹습니다.
- 음식을 만들거나 먹을 때 소금이나 간장을 적게 사용합니다.
- 국과 찌개의 국물을 적게 먹습니다.
많이 움직여서 식욕과 적당한 체중을 유지
-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합니다.
- 많이 걷고 움직이는 생활을 합니다.
술은 절제하고, 물을 충분히 마시자
- 되도록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 술을 마실 때는 하루 1잔 이내로 제한합니다.
(1잔은 소주로는 1.5잔, 맥주로는 1캔, 양주로는 1잔에 해당됩니다.) - 물을 자주 마십니다.
세끼 식사와 간식을 꼭 먹자
-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
- 조금씩 자주 먹습니다.
음식은 먹을 만큼 준비하고, 오래된 것은 먹지 말자
- 음식은 한꺼번에 많이 만들지 않습니다.
- 남은 음식은 바로 냉장 보관하고, 오래 된 것은 버립니다.
음식유형별반찬가지수(한식)
음식유형 | 음식(예) | 반찬가짓수 | |
---|---|---|---|
사진 | 음식명 | ||
![]() |
곰 탕 류 | 곰탕, 갈비탕, 설렁탕 등 | 반찬 2∼3 |
![]() |
장 국 류 | 대구탕, 아구탕 등 | 반찬 2∼3 |
![]() |
찌 개 류 | 김치찌개, 된장찌개, 순부두찌개 등 | 반찬 3∼4 |
![]() |
비빔밥류 | 비빔밥, 돌솥밥 등 | 반찬 2∼3 |
![]() |
면 류 | 국수, 칼국수, 냉면 등 | 반찬 1∼2 |
![]() |
전 골 류 | 곱창전골, 해물전골, 버섯전골 등 | 반찬 3∼4 |
![]() |
구 이 류 | 불고기, 생선구이 등 | 반찬 4∼5 |
![]() |
찜 류 | 아구찜, 갈비찜 등 | 반찬 3∼4 |
![]() |
백 반 류 | 가정식 백반 | 반찬 5∼6 |
![]() |
도시락류 | 도시락 | 반찬 6∼7 |
![]() |
김밥도시락 | 반찬 1∼2 |
반찬은 복합메뉴로하여 고객이 선택하도록 하고 용기는 가급적 소형으로하며, 찬량은 소량 제공
음식유형별반찬가지수(일식)
음식유형 | 음식 (예) | 반찬가짓수 |
---|---|---|
생선회류 | 모듬회, 광어회, 우럭회 등 | 반찬 5∼6 |
생선초밥류 | 모듬초밥, 주문초밥 등 | 반찬 5∼6 |
튀김정식 | 모듬튀김, 새우튀김 등 | 반찬 5∼6 |
생선매운탕류 | 대구탕, 서더리탕, 알탕등 | 반찬 5∼6 |
생선구이류 | 장어구이, 삼치구이, 청어구이 등 | 반찬 5∼6 |
도시락류 | 도시락 | 반찬 5∼6 |
덮밥류 | 회덮밥, 송이덮밥, 쇠고기덮밥 등 | 반찬 5∼6 |
정식류 | 세트, 코스요리 등 | 반찬 5∼6 |
면류 | 소면, 우동, 메밀 등 | 반찬 5∼6 |
업소 규모에 따라 자율적 선택
음식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식단 실천
좋은 식단제란? 위생적이고, 알뜰하며, 영양적으로 균형이 잡힌 식단으로 음식점에서 자율적 실천할 수 있도록 한 권장 성격의 상차림을 말합니다.
위생적인 식단
① 한번 제공된 음식은 재사용 안하기(된장, 고추장 등 밑반찬 포함)
② 반찬은 개별 제공을 원칙으로 하되, 찌게류 등을 각자 덜어 먹을 수 있도록 빈 그릇 제공
③ 음식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빈 그릇" 별도 제공
알뜰한 식단
① 먹고 남기지 않을 만큼의 적정량 제공
② 공동찬통 사용
③ 반찬은 적정한 가짓수를 소형 찬그릇에 담아 제공
④ 부족한 반찬은 고객이 원하는 만큼 추가 제공
균형 잡힌 식단
① 영양적으로 균형이 잡힌 식단
② 음식에 어울리는 반찬 제공
③ 가급적 계절 식품 활용
영업주 실천사항
① 소형, 복합찬기 사용
② 적정량의 반찬을 제공
③ 음식물 쓰레기 적정하게 처리(재활용품)
④ 위생적인 식사분위기 제공
⑤ 남은 음식 싸주기
⑤ 1회용품 사용을 억제하고 이쑤시개 비치
종사자 실천사항
① 예의 바르고 친절한 자세
② 겸손하고 교양있는 대화
③ 단정한 복장, 절도있는 몸가짐
④ 손님의 의사를 존중하고 감사하는 마음
손님의 실천사항
① 식사와 휴식을 겸한 공간이 되도록 협조
② 종사자의 인격을 존중, 고운말을 사용하기
③ 부드러운 대화로 즐거운 식사 만들기
④ 문화시민으로서 식당예절을 지키기
⑤ 미리 예약을 하여 예약문화를 정착시키기
국민 건강 식단의 4가지 특징
계획적인 식단(알맞게)
- 계획적인 식단작성을 통해 준비된 식탁을 차림으로써 불필요한 노력감소
- 가족의 식사를 위해 필요한 분량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개인과 가정에 필요한 주식과 반찬을 필요한 만큼만 준비
- 계량기를 사용하여 남김없이 먹을 수 있는 계획된 분량만 준비
다양한 식단(골고루)
- 계절식품을 이용한 식단작성을 통한 영양적으로 균형된 식사
- 밥을 주식으로 하며 필요량 만큼의 반찬을 다양하게 준비하여 밥과 반찬이 균형을 이룬 식사
- 부식의 중복을 피하고 가족 구성원의 기호를 고려한 식사
위생적인 식단(깨끗하게)
- 가공식품 사용 최소화 및 천연 식품재료 사용
- 계획적인 식단작성, 구매, 조리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 발생 최소화
- 정확한 계량과 조리로 음식의 재사용 감소
- 계획적인 조리를 통한 냉장고 및 냉동고의 음식물 보관과 저장 최소화
건강한 식단(건강하게)
- 계획된 분량의 밥과 다양한 반찬 섭취로 과잉의 에너지 섭취 및 비만 예방
-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균형된 섭취
-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의 섭취를 통한 각종 성인병 예방
- 충분한 채소 반찬의 섭취를 통한 비타민과 무기질 등 필수영양소 섭취를 통한 건강 증진
우리가 지켜야할 음식문화예절
영업주 : 음식문화개선에 앞장선다.
- 조리장, 객장, 화장실 등의 위생수준을 한 등급 높이고 청결한 영업장 관리로 안락한 분위기를 유지한다.
- 좋은식단 실천을 의무화하여 물자를 낭비하지 않는다.
-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 보관, 판매하고 식기류는 철저한 소독으로 비위생 요인을 제거한다.
- 지역이나 업소만의 특색있는 음식을 개발, 보급하여 음식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종사자 : 친절하고 예의바른 봉사자세를 생활화한다.
- 단정한 몸가짐으로 손님을 맞이하고 청결한 위생복의 착용과 개인위생을 생활화 한다.
- 손님의 의사를 존중하고, 감사하는 마음과 교양있는 자세로 손님을 맞이한다.
- 시민위생을 책임지는 직업인으로서의 책무와 자긍심을 갖는다.
손 님 : 성숙한 문화시민으로서의 음식예절을 갖춘다.
- 음식점이 식사와 휴식을 위한 문화공간이라는 마음을 갖고 행동한다.
- 종사자의 인격을 존중하고 조용하며 정중한 언어를 사용한다.
- 고성방담 등으로 다른 손님에게 불쾌감을 주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 업소의「좋은식단」실천에 적극 참여하고 예약제를 생활화하여 물자의 낭비가 없도록 협조한다.
음식쓰레기란?
- 집이나 음식점 등에서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
- 식품의 판매유통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 먹고 남긴 음식물 찌꺼기
- 보관했다가 유통기간 경과로 그냥 버리는 식품 쓰레기
숫자로 보는 음식물 쓰레기양
- 발생현황 : 1일 발생되는 음식물류 폐기량 - 약 11,397톤(8톤 트럭 1,400여대 분)
- 경제적 손실가치
- 국민전체 1일 약 404억원
- 1인당 연간 314,700원
- 1가구당 연간 1,133,300원
- 국민전체 연간 15조원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생활실천 수칙
음식점에서 영업주는
- 밥과 국의 양을 소량으로 제공하고 손님 요구 시 추가 제공한다
- 각자 덜어 먹을 수 있게 집게, 국자, 개인찬기를 제공한다
- 위생적인 용기나 포장지를 비치하고, 남은 음식은 싸가도록 권장한다
- 영업능력, 식품보관 능력을 따져 계획성 있게 식품을 구입한다
- 식품에 구입 날짜를 표하고 순서대로 사용한다
- 고객의 취향과 식사량을 배려해서 차림판을 다양하게 준비한다
- 고객이 원하는 양대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 지나친 눈요기 장식을 줄인다
음식점에서 소비자는
- 주문하기 전에 메뉴 판을 꼼꼼히 살핀다
- 자신의 식사량을 미리 말해준다
- 먹지 않을 음식은 미리 반납한다
- 여럿이 함께 먹는 요리에는 개인접시를 사용한다
- 음식이 남지 않을 만큼만 주문한다
- 먹지 않을 후식은 사양한다
좋은식단 실천업소
연번 | 구분 | 업 소 명 | 대표자 | 소재지 | 전화번호 | 주메뉴 | 비 고 |
---|---|---|---|---|---|---|---|
1 | 고금면 | 향리옥 | 신해선 | 고금면 고금동로 15-2 | 554-6253 | 삼겹살, 백반 |
|
2 | 고금면 | 금강식당 | 김장심 | 고금면 고금동로 9 | 553-0961 | 백반, 매운탕 |
모범 |
3 | 고금면 | 무지개회식당 | 조안희 | 고금면 고금동로2번길 25 | 553-8448 | 생선회, 매운탕 |
모범, 남도음식명가 |
4 | 고금면 | 장터회관 | 최은옥 | 고금면 고금로 594-2 | 553-0919 | 삼계탕, 흑염소탕 |
|
5 | 고금면 | 송도가든 | 박종헌 | 고금면 고금로1-34,1층 | 554-1320 | 황칠백숙 | |
6 | 고금면 | 정말로식당 | 김옥림 | 고금면 농상도남길 34 | 553-0884 | 매운탕, 아구탕 |
|
7 | 약산면 | 대복 | 이정심 | 약산면 약산로 373-2 | 552-3234 | 백반 | |
8 | 약산면 | 일등식당 | 차예단 | 약산면 약산로383번길 10 | 553-8320 | 백반 | |
9 | 약산면 | 고향회관 | 박연숙 | 약산면 약산로383번길 4-1 | 553-9374 | 흑염소전골, 흑염소탕 |
|
10 | 완도읍 | 동백횟집 | 김영식 | 완도읍 장보고대로 303 | 553-7079 | 전복요리, 생선회 |
|
11 | 완도읍 | 바닷가 횟집 | 나순남 | 완도읍 장보고대로 303 | 554-6170 | 생선회, 매 |
|
12 | 완도읍 | 사오정 식당 | 이철옥 | 완도읍 장보고대로 315, 1층 | 553-4050 | 백반, 매운탕 |
|
13 | 완도읍 | 완도어반 | 최종식 | 완도읍 장보고대로 334, 1층 | 555 -7100 | 생선구이백반 | |
14 | 완도읍 | 해궁횟집 | 양정순 | 완도읍 장보고대로 340 | 554-3729 | 백반, 매운탕 |
|
15 | 완도읍 | 개성순두부 | 배송은 | 완도읍 개포로 19 | 552-8484 | 순두부찌개 | 모범 |
16 | 완도읍 | 계절의 맛 명성 | 김명식 | 완도읍 개포로145번길 31 | 553-0035 | 해물찜, 대구뽈탕 |
모범 |
17 | 완도읍 | 미락 | 정춘자 | 완도읍 군내11번길 15 | 554-4182 | 아구찜, 복지리 |
모범 |
18 | 완도읍 | 샤브랑고기랑 | 한승현 | 완도읍 군내3번길 14 | 555-5292 | 소고기 샤브샤브 |
모범 |
19 | 완도읍 | 가든 한국관 | 정찬우 | 완도읍 군내3번길 24-6 | 552-1215 | 한정식, 돼지고기 |
모범, 남도음식명가 |
20 | 완도읍 | 석장포구 | 한향숙 | 완도읍 석장길 18-3 | 554-0704 | 생선회, 매운탕 |
모범 |
21 | 완도읍 | 전사마 | 추정민 | 완도읍 장보고대로 197 | 555-0838 | 전복요리, 갈비탕 |
모범 |
22 | 완도읍 | 토박이 | 정미숙 | 완도읍 장보고대로248번길 48 | 552-4114 | 김치찌개, 된장찌개 |
모범 |
23 | 완도읍 | 청솔가든 | 변왕섭 | 완도읍 중앙길 78 | 555-1644 | 영양솥밥, 떡갈비 |
모범 |
24 | 완도읍 | 초계산가든 | 김희순 | 완도읍 청해진서로 142 | 552-2747 | 토종닭, 오리 |
모범 |
25 | 완도읍 | 대복횟집 | 마종진 | 완도읍 해변공원로 109-1 | 554-3341 | 전복코스, 생선회 |
모범 |
26 | 완도읍 | 신지횟집 | 김미숙 | 완도읍 해변공원로 117 | 552-5244 | 생선회, 전복코스 |
모범 |
27 | 완도읍 | 수산시장 55호 | 장영애 | 완도읍 해변공원로 130 | 552-3344 | 생선회 | 모범 |
28 | 완도읍 | 완도회타운협동조합 | 한기덕 | 완도읍 해변공원로 136 | 554-0068 | 전복요리, 생선회 |
모범, 남도음식명가 |
29 | 완도읍 | 청실횟집 | 정해일 | 완도읍 해변공원로 51-1 | 552-4559 | 생선회, 매운탕 |
모범 |
30 | 완도읍 | 대성회식당 | 정선영 | 완도읍 해변공원로 59 | 554-5164 | 전복요리, 생선회 |
모범, 남도음식명가, 위생등급제(좋음) |
31 | 완도읍 | 미원횟집 | 이태연 | 완도읍 해변공원로 65 | 554-2506 | 생선회, 매운탕 |
모범 |
32 | 완도읍 | 조금산 삼계탕 | 박보석 | 완도읍 해변공원로 91번길 10 | 553-5514 | 삼계탕 | 모범 |
33 | 완도읍 | 어가일식 | 문영기 | 완도읍 해변공원로113번길 6 | 555-0305 | 회정식, 초밥 |
모범 |
34 | 완도읍 | 남강전복 | 손찬우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1 | 552-2299 | 전복코스, 생선회 |
모범 |
35 | 완도읍 | 남강전복 1호점 | 양소원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1 | 554-0604 | 생선회, 백반 |
모범 |
36 | 완도읍 | 흥남식당 | 차새미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1 | 554 -8283 | 생선회, 매운탕 |
|
37 | 완도읍 | 동서지간 | 김춘자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5 | 555-9999 | 전복요리, 생선회 |
모범 |
38 | 완도읍 | 천지횟집 | 우재연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7 | 552-2098 | 전복요리, 생선회 |
모범 |
39 | 완도읍 | 청해나루 | 최재이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7-1 | 554-2703 | 생선구이, 매운탕 |
모범 |
40 | 완도읍 | 완도항구 | 최명주 |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19-1 | 554-7227 | 전복요리, 생선회 |
모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