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내기 후 벼 품종 확인하고 제초제 처리 하세요
- 작성일
- 2017-05-19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301
첨부파일(0)
- 농촌진흥청, 저항성전용 HPPD 저해 제초제 사용 시 약해 주의 당부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벤조비사이클론, 메소트리온, 테퓨릴트리온 함유 제초제를 뿌리기 전에 벼 품종을 확인한 다음 사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HPPD1) 저해제들인 벤조비사이클론, 메소트리온, 테퓨릴트리온 등 3종은 논에서 발생하는 주요 저항성 잡초인 물달개비와 올챙이고랭이 등을 효율적으로 방제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초제 성분에 포함되면서 몇몇 벼 품종에서 약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실제, 작년 경기 강화, 김포, 이천과 충남 지역 등에서 모내기 후 제초제 약해가 발생했다. 또한 정상적인 사용방법에서 약해가 발생되지 않는 품종이라도 엽면살포 등 등록된 사용방법과 다르게 사용하면 약해를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쌀과자, 막걸리 및 쌀국수 가공원료로 쓰이는 새미면, 팔방미, 다산, 남천, 안다, 아름 벼 등에 약해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는 제품 포장지 또는 작물보호제 지침서에 표시돼 있으나, 주의 깊게 살펴보지 않으면 농가에서 놓치기 쉽다.
학계에는 혼반용이나 떡 가공용으로 쓰이는 향미벼와 한강찰벼에도 약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고, 일반계 품종인 삼백, 금영, 한들, 조아미, 산들진미 품종 등에도 약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해를 입은 벼는 카로티노이드 색소합성2)이 억제돼 벼 잎이 하얗게 변하고 생육이 저하된다. 심한 경우 회복이 어려우며, 점차 벼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 죽게 된다.
2017년 4월말 현재 벤조비사이클론, 메소트리온, 테퓨릴트리온 함유 제초제는 각 83종, 15종, 19종이 등록돼 있다.
농촌진흥청 농자재평가과 김상수 농업연구사는 "농가에서는 모내기 후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 성분과 약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벼 품종을 반드시 확인하고, 등록된 방법대로 살포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
1) 식물에 필수적인 p-Hydroxyphenyl Pyruvate Dioxygenase 효소로, 이효가 억제 될 경우 카로티노이드 합성 장애를 일으킴
2) 동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노란 빛 또는 붉은빛 색소의 한 무리
[문의] 농촌진흥청 농자재평가과장 이경일, 농자재평가과 김상수 063-238-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