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재배 콩, 배수관리 이렇게 하세요!
- 작성일
- 2017-07-07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458
첨부파일(1)
-
-
논 재배 콩, 배수관리 이렇게 하세요!.jpg
0 hit / 162 KB
-
논 재배 콩, 배수관리 이렇게 하세요!.jpg
- 논 포장 배수로 정비·주요 병 발생 시 대처법 소개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논에서 콩 재배 시 습해나 토양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배수 관리법을 소개했다.
콩 생육초기는 장마철과 시기가 겹쳐 집중호우로 인한 과습 피해를 받게 될 경우 콩 수확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올해는 기온과 강우량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1)으로 전망돼, 논에서 콩을 재배하는 농가의 세심한 포장관리가 요구된다.
논에 콩을 심는 경우 밭과는 달리 수분 보전이 크기 때문에 파종 후 미리 배수로 정비를 해둬야 한다.
배수로는 포장 테두리를 따라 내주고, 중앙에는 열십자(十)나 우물정자(井)의 형태로 물길을 내어 배수가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콩을 심은 이랑이 낮으면 습해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밭 재배보다 높은 20cm 정도로 하며,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피해 시 24시간 안에 고랑 사이의 물을 빼주고 잎에 남은 흙 앙금을 씻어낸 후 요소 엽면시비2)를 통해 피해를 줄인다.
가뭄 시 물을 댈 때도 습해가 나지 않도록 배수 관리에 철저히 신경 써야 한다.
습해로 콩에 발생하기 쉬운 토양병으로는 검은뿌리썩음병, 시들음병, 역병 등이 있다.
검은뿌리썩음병은 식물체 상부는 누렇게 변해 마르고 식물체를 뽑아보면 잔뿌리가 없이 검게 썩어 있다. 배수가 안되거나 지하수면이 높은 논에서 수년간 콩을 연작할 때 피해가 심하다.
시들음병은 잎이 누렇게 변해 시들고 줄기를 갈라보면 관다발이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색이 되어 있다.
역병은 식물체 전체가 누렇게 변하고 시들며, 땅에 닿은 줄기부위가 검은색으로 변하며 썩게 된다. 배수가 안되거나 침수된 포장에서 발생이 많다.
이들 토양병은 현재 등록된 방제 약제가 없으므로 병든 식물체는 발견 즉시 없애 병의 전파를 막고, 토양이 장기간 습하지 않도록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한다. 병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벼 작물로 돌려짓기 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백인열 생산기술개발과장은 "올해는 집중호우 또는 마른장마가 예상되고 있으나, 논에서 콩 재배 시 발생하기 쉬운 습해나 토양병을 예방하기 위해 배수로 관리를 철저히 해두기를 당부한다."라고 전했다.
------------------------------------------
1) 2017년 7월은 6월에 비해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오는 날이 많아지나, 온도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겠으며,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겠음(기상청 장기전망, 1개월)
2) 비료나 약제를 물에 타서 식물의 잎에 뿌려 양분이나 약액을 흡수하게 하는 일, 논에 심은 콩 엽면시비의 경우 0.5%∼1.0% 요소액(10g∼20g/물 20리터)으로 실시한다.
[문의]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한원영 055-350-1267, 장윤우 055-350-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