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쌀 유지에 앞장서는 쌀 품질 관리실
- 작성일
- 2020-11-13
- 등록자
- 김영훈
- 조회수
- 272
첨부파일(1)
-
-
고품질 쌀 유지에 앞장서는 쌀 품질 관리실.pdf
0 hit / 536 KB
-
고품질 쌀 유지에 앞장서는 쌀 품질 관리실.pdf
쌀 품질 관리실에서는 순도·성분·품위·식미 검사 실시
시료 500g 정도 접수하면 약 1주일 후 분석 결과 확인 가능
쌀은 우리 민족과 함께 해왔습니다. 우리 국민의 주식은 쌀입니다. 그래서 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 그동안 중요한 식량자원인 쌀의 생산성에 주목을 해왔다면, 최근에는 국민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밥맛이 좋은 쌀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쌀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정부도 양곡 표시 제도를 개선하는 등 쌀의 고품질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농업인과 가장 가까운 접점에서 쌀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쌀 품질 관리실에 대해 알아봅니다.
쌀 품질 관리실은 벼 재배면적이 많고 쌀을 주요 작목으로 하는 지역의 농업기술센터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관리실에서는 쌀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분석해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순도, 성분, 품위, 식미 검사가 있습니다.
순도 검사는 DNA 분석을 통해 쌀 품종의 혼합 정도를 측정하는 유전자 검사입니다. 성분 검사는 쌀의 단백질, 수분, 아밀로오스, 백도 비율을 분석합니다. 품위 분석은 쌀의 외관 상태를 살피는 검사로 완전립, 분상질립, 피해립, 싸라기, 기타 이물 비율을 분석합니다. 식미 분석은 쌀의 경도, 탄력, 찰기, 부착의 검사로 일종의 밥맛에 대한 종합 평가라 할 수 있습니다.
쌀 품질 관리실에서 제공하는 이들 검사 중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은 순도 검사입니다. 검사 방법은 채취한 시료 중 일정한 수의 쌀알을 고른 후 한 알씩 분쇄하여 가루로 만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루에 겔 타입의 시약을 섞고 전기영동 장치로 분석하면 쌀의 DNA 분석 결과가 도출됩니다. 이를 통해 시료의 품종을 분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석한 시료 들 중 80% 이상이 동일한 품종으로 측정되어야만 순도 기준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품종의 순도가 중요한 이유는 균일한 생산성과 품질을 결정하는 것이 바로 종자의 순도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쌀 품질 관리실에서는 쌀 재배 농가에 종자 순도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쌀 품질 관리실은 4가지 분석 서비스를 통해 지역에서 생산되는 쌀의 품종 혼입을 막고 품질 유지에 기여함으로써 지역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분석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곳은 양곡 업체들입니다. 주로 가을철 수확이 끝나고 농가로부터 수매한 쌀의 순도 측정을 의뢰합니다. 다른 품종이 기준치 이상 혼입될 경우 보관 문제나 밥맛이 저하되는 등 소비자 입맛에 부합하지 못할 우려가 있어 미리 검사받길 원합니다.
품질 분석 의뢰를 받은 경우 이외에도 쌀 품질 관리실은 자체적인 품질 관리 검사를 실시합니다. 매 분기마다 관내 양곡 업체별로 시장에서 유통 중인 쌀을 구매합니다. 구매한 쌀은 품질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 결과를 각 업체에 전달하여 쌀의 품질 유지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간혹 검사 결과가 정해진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직접 해당 업체를 방문하여 다시 여러 개의 시료를 채취하고 검사하는데,또 다시 기준치 이하의 결과가 나오면 품질개선을 요구합니다.
거스를 수 없는 흐름, 고품질 쌀 생산
쌀 시료 분쇄를 위한 조직파쇄기 쌀 시료 분쇄를 위한 조직파쇄기
소비자는 쌀을 구매할 때 쌀의 품목, 등급, 생산연도, 원산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양곡 표시 제도라고 합니다. 이 표시 제도는 소비자에게 쌀에 대한 정확한 품질 정보를 제공하고자 마련한 것입니다. 특히 쌀의 경우 2018년 등급 표시 방식이 바뀌어 기존의 특, 상, 보통, 등외 등급 이외에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검사’로 표시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미검사 표시를 삭제하여 등급 표기가 의무 사항이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유통 쌀의 70%가 미검사 표기를 해 왔지만 이제는 그럴 경우 과태료를 물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지역 쌀 농가와 쌀을 수매·가공·유통하는 양곡 업체들은 고품질 쌀 생산에 더욱 집중 하게 되었습니다.
진천군농업기술센터 쌀 품질 관리실의 이재학 농촌지도사는 “기계화 보급과 기술 향상으로 쌀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소비자들은 좀더 질이 좋은 쌀을 원하고 있다.”며 “점차 소비자에게 선택받을 수 있는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으로는 쌀의 등급처럼 외관상 특성으로 결정되는 정보 이외에도 식미, 신선도 같은 정보들이 더 주목받을 것”이라며 쌀 품질 관리실은 이러한 쌀의 고품질화를 위해 노력하는 농업인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쌀 품종 분석을 위한 전처리실 쌀 품종 분석을 위한 전처리실
꿀팁 : 쌀 품질 관리실 이용하려면
쌀 품질 관리실은 언제 이용하면 되나요? - 쌀 수확 후 도정까지 완료한 상태일 때 품질 분석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품질 분석 의뢰는 어떻게 요청하면 되나요? - 농가 또는 도정 업체에서 수확한 쌀의 시료 500g 정도를 포장해 방문 접수하면 약 1주일 후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쌀 품질 분석을 의뢰할 때 이용료는 얼마인가요? - 쌀 품질 검사실이 있는 시군농업기술센터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순도 및 성분검사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일부 시군이 있으니 미리 알아보고 검사 요청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