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농작물 재해예방 관리기술 정보(제2호)
- 작성일
- 2021-02-09
- 등록자
- 윤추정
- 조회수
- 101
첨부파일(1)
-
-
2021년 농작물 재해예방 관리기술 정보(제2호)_vf.hwp
0 hit / 19775 KB
-
2021년 농작물 재해예방 관리기술 정보(제2호)_vf.hwp
한파·폭설피해 최소화 작목별 사후관리 기술적 대책
포도
❍ 동해피해 받은 나무는 원줄기 부위의 부정아를 잘 키워서 내년도에 원가지로 활용하여 결실량 확보
- 동해피해 판단할 수 있는 5월 상순경에 원줄기를 지상 5∼10㎝ 남기고 잘라 부정아를 발아시켜 생장시킨 후 이듬해 원가지로 이용
❍ 발아불량에 의한 결손 결과모지 보완 방법
- 결손 결과모지가 1~2개일 경우 인접 결과모지의 신초 활용
- 결손 결과모지가 3~4개일 경우 인접 가지를 장초전정 하여 결손지 보완
❍ 신초 생육이 불량한 가지는 착과량을 줄이고, 생육초기 엽면시비 등으로 수세회복에 만전을 기함
차나무
❍ 동해피해를 입은 다원은 3월 상순에 정지작업 실시
❍ 동해피해가 경미한 경우 수확면 잎 10㎝ 자르기
- 동해피해를 입은 다원 차나무 정지 깊이는 수확면으로부터 5∼10cm 정도가 적당
❍ 동해피해를 심하게 입은 다원의 차나무 전지는 지면으로부터 50~60cm가 적절
시설채소
❍ 기형과가 다발한 화방을 제거하고, 후위 화방의 개화 및 착과를 유도
❍ 동해나 잿빛곰팡이병 이병조직을 철저히 제거하고 철저한 방제 실시
❍ 웃자람 방지를 위해 토양수분 및 양분 투입량을 줄여주고 적온 유지
❍ 주간에 적극적으로 환기를 실시하고 야간에 온도를 다소 높게 관리
❍ 관수량을 줄이고 적엽을 하여 햇빛이 잘 들도록 함
❍ 오후 늦게 관수하지 말고 흐린 날은 관수를 일찍 중단
❍ 시설 내 공기를 유동시켜서 식물체를 말림
월동채소
〈마늘․양파〉
❍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한 포장에서 땅이 얼었다가 녹을 때 서릿발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솟구쳐 올라온 포기는 즉시 땅에 잘 눌러주거나 흙덮기 실시
❍ 토양이 건조하면 찬 공기가 뿌리까지 쉽게 들어갈 수 있어 양분 흡수저해 및 동해가 우려되니 피복필름이 날리지 않도록 고정함
❍ 포장이 건조할 경우 따뜻한 날 일찍 분수호스나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이랑 위로 관수 실시하고, 눈이 많이 왔을 경우 토양이 과습하면 습해가 발생하므로 배수로를 정비함
〈겨울배추․무〉
❍ 동해를 받았을 경우 날씨가 회복되어 언 부분이 녹은 후 수확하여 저장하지 말고 출하
첨부파일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