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보리알곡사료’ 이용 효과 입증
- 작성일
- 2017-07-13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320
첨부파일(1)
-
-
농촌진흥청, ‘보리알곡사료’ 이용 효과 입증.jpg
0 hit / 167 KB
-
농촌진흥청, ‘보리알곡사료’ 이용 효과 입증.jpg
- 소가 잘 먹고 육량·육질 개선... 청보리[총체보리] 대체 기대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사료용 청보리의 새로운 대안 기술인 보리알곡사료의 육량·육질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청보리(총체보리) 담근먹이(사일리지)는 5년~6년 전만 해도 큰 인기가 있었으나, 수분함량이 많고 보리 특유의 까락이 섭취량 증가의 한계로 작용하며 수요가 줄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체 기술로 등장한 보리알곡사료는 일반 청보리 담근먹이와 달리 까락 없이 생보리 알곡만 따로 수확해 담근먹이 형태로 발효해 먹이는 것으로, 부스러뜨리지 않고 통째로 급여할 수 있으며 소가 잘 먹는다.
농촌진흥청은 한우 거세우를 대상으로 비육후기1) 3~9개월 동안 곡물사료(건물 대비)의 10%를 보리알곡사료로 대체해 먹였다.
그 결과, 기존 배합사료만 급여하는 것에 비해 출하체중은 평균 8㎏정도 늘어났고, 육질(근내지방도)은 10.7% 가량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사육방식이 비슷한 일본은 일반적으로 직접 배합하는 비육후기 사료에 납작보리(압편보리)를 사용하고 있다.
보리는 옥수수 전분질에 비해 미생물단백질 미생물 단백질2)의 합성량이 많고, 에너지 이용의 이점이 많아 사료효율이 12% 이상 높다 사료효율이 12% 높다3).
또한, 지질(지방) 함량이 적어 백색의 경지방4)을 생산해 도체지방5)의 밀도를 치밀하게 해주어 전반적으로 고기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보리알곡사료를 만들 때에는 청보리 담근먹이(사일리지)를 만들 때보다 좀 더 성숙(등숙)시켜 수확과 동시에 담근먹이용 생균제를 뿌려 생보리 알곡을 담근먹이 형태로 만든다.
마대자루(톤백)에 500㎏ 단위로 담아 밀봉한 뒤 60일 이후에 먹이는데, 이때 수분은 55%~60% 정도로, 분쇄하지 않고 먹여도 된다.
국내산 사료용 청보리 품종은 까락을 가진 '영양'을 시작으로, 가축기호성 개선을 위해 까락의 작은가시 부분을 없앤 '우호', 까락 부분이 퇴화된 '유진' 등 17품종이 육성돼 있다.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 장선식 농업연구사는 "곡물사료 원료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의 현실을 볼 때 다양한 사료자원의 개발과 이용은 축산업의 경쟁력을 한걸음씩 높이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탈곡한 보리짚은 볏짚을 대체할 수 있어 청보리 재배가 많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지역 또는 보리재배와 한우사육을 겸업하는 농가에서 적극적으로 이용해볼만 하다."라고 전했다.
------------------------------------
1) 생후 21~30개월령.
2) 생물 단백질이 많아야 소화가 잘되고 증체에 도움이 됨.
3) 사료효율이 12% 높다는 것은 기존사료 보다 12% 덜 먹여도 그만큼 큰다는 의미임.
4) 소의 근간 또는 근내지방이 희고 단단할수록 좋은 도체임, 물렁하면 도체단가가 저하됨.
5) 도살한 가축의 가죽, 머리, 발목, 내장 따위를 떼어 낸 나머지 몸뚱이.
[문의]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 장선식 063-330-0693, 작물육종과 박종호 063-238-5228
첨부파일
07-13-3_농촌진흥청보리알곡사료이용효과입증(축산원).hw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