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논 재배 밭작물 관리 요령
- 작성일
- 2018-04-11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21
첨부파일(1)
-
-
쌀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논 재배 밭작물 관리 요령.jpg
0 hit / 102 KB
-
쌀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논 재배 밭작물 관리 요령.jpg
- 콩·수수, 논 재배 적합... 20일까지 ‘논 타작물재배 지원사업’ 접수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논 타작물재배 지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논 재배에 적합한 작물로 습해에 강한 콩과 수수를 추천했다.
‘논 타작물재배 지원사업’은 밭작물의 자급률을 높이고 쌀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에 밭작물을 재배하면 지원금을 주는 제도다.
현재 해당 농지소재지의 읍·면·동사무소에서 이달 2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지원금은 헥타르(ha)당 콩·팥은 280만원, 참깨·들깨·수수는 340만원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논은 경사도 7% 이하의 준경사지 및 평야지로 배수가 잘 안되므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작물에 따라 알맞은 시기에 파종함으로써 피해를 줄이고 수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구 결과 암거배수시설을 설치한 경우 콩 16%, 팥 73%, 수수 15%, 참깨 48%의 수량 증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1)
* 기존 명거배수 시 수량(㎏/10a): 참깨(68), 콩(61), 수수(250), 팥(72)
배수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우면 생육시기별 습해 영향을 고려해 작물을 관리하도록 한다. 콩과 팥은 개화기에, 참깨와 수수는 유묘기에 습해 시 수량이 가장 많이 감소2)하므로 이 시기에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특히 참깨는 유묘기와 장마 시기가 겹치지 않도록 5월 중순까지는 파종을 마치도록 한다.
비료와 일반 토양관리는 표준재배법에 준하고, 습해가 우려되는 논에서는 이랑을 20cm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 안전하다. 배수로는 포장 테두리를 따라 50~80cm 정도로 깊이 내주고, 중앙에는 열십자(十)나 우물정자(井)의 형태로 물길을 내어 배수가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정태욱 생산기술개발과장은 “논 타작물재배 지원사업과 관련해 논 재배에 적합한 밭작물을 선정하고, 습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재배요령을 숙지한다면 고품질의 작물 생산 및 안정적인 수확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1) *암거배수시설 설치 시 수량(㎏/10a): 참깨(118), 콩(73), 수수(299), 팥(268)
*기존 명거배수 시 수량(㎏/10a): 참깨(68), 콩(61), 수수(250), 팥(72)
2) 콩과 팥은 개화기 습해 시 각각 42%, 70%, 참깨와 수수는 유묘기 습해 시 각각 41%, 32%의 수량감소가 나타남
[문의]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전현정 055-350-1262, 배진우 055-350-1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