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잘 안되는 젖소, 수태율 올리는 법 찾았다
- 작성일
- 2018-04-18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422
첨부파일(1)
-
-
임신 잘 안되는 젖소, 수태율 올리는 법 찾았다.jpg
0 hit / 102 KB
-
임신 잘 안되는 젖소, 수태율 올리는 법 찾았다.jpg
- 태반 단백질계 호르몬 활용 집단, 수태율 16%p 높아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낙농 농가의 번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신이 잘되지 않는 소(저수태소1))의 수태율(임신율)을 높일 방법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젖소의 한 해 평균 우유 생산량(산유량)은 세계 3위 수준(305일 기준 10,334kg/마리)으로 갈수록 능력이 좋아지고 있다.2)
그러나 산유량 위주로 소를 선발하다 보니 유전적 번식 형질은 떨어지고 있다.
연구진은 태반 단백질계 호르몬3)인 에이치씨쥐(hCG4))의 수태율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저수태소 128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소를 두 집단으로 나눠, 67마리는 인공수정 후 5일째 hCG 1,500IU(아이유)를 근육주사로 투여했고, 나머지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15일 째 되는 날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측정한 결과, hCG 투여 집단의 프로게스테론 농도는 투여하지 않은 집단(대조구)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수태율 또한, hCG 투여 집단이 대조 집단보다 16%p 정도 높았다.
높아진 수태율로 경제성을 분석하면, 분만 간격을 16일 정도로 줄일 수 있어 1마리당 약 41만 원의 소득 향상이 기대된다.
hCG는 태반 단백질계 호르몬으로, 임신 초기 황체 수명을 연장하고 자궁 내막 유지․발달에 필요한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는 기능이 있다.
젖소의 발정 주기는 21일로 보통 2∼3회 난포파5) 가운데 1개 난포만이 배란되고 나머지는 없어진다. 이때 hCG를 투여하면 난포가 없어지지 않고 배란된다. 결과적으로 황체는 하나 더 생기고 프로게스트론 농도는 높아져 임신이 잘 유지되는 것이다.
농촌진흥청 낙농과 이지환 농업연구사는 “저수태우 발생 원인에는 사양 관리, 면역력 감소, 유전적 요인 등 여러 복합적인 부분이 작용하기 때문에 호르몬 활용뿐 아니라 종합적인 사양 관리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또한, “hCG를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과하게 사용하면 두 번째 투여 시 체내 호르몬의 내성이 생겨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연속적인 투여는 자제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
1) 정상적 발정발현이 옴에도 불구하고 인공수정 횟수가 3회 이상으로 임신이 되지 않는 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분만 간격 연장의 주요인.
2) 1등 이스라엘(11,644kg) > 2등 미국(10,928kg) > 3등 한국
3) 호르몬의 생리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특수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
4)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5) 난포파(follicular wave): 발정주기(소: 21일)당 난포의 배란과 폐쇄의 흐름, 소에서는 발정주기 당 2~3개의
난포파가 존재한다.
[문의] 농촌진흥청 낙농과장 기광석, 낙농과 이지환 041-580-3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