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북부 지역도 세균벼알마름병 발생에 대비하세요
- 작성일
- 2018-04-25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65
첨부파일(1)
-
-
중북부 지역도 세균벼알마름병 발생에 대비하세요.jpg
0 hit / 79 KB
-
중북부 지역도 세균벼알마름병 발생에 대비하세요.jpg
- 이삭 팰 때 고온다습하면 잘 생겨...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예방 -
농촌진흥청장(라승용)은 벼 파종기를 맞아 세균벼알마름병을 비롯한 각종 세균병 예방을 위해 종자를 철저히 소독할 것을 당부했다.
세균벼알마름병은 벼의 이삭이 팰 때 발병하기 때문에 이삭이 여물지 못해 품질이 떨어진다. 심할 경우 35%까지 수량이 준다.
파종 전에 종자를 철저히 소독하는 것이 방제의 첫걸음이다.
올여름은 평년보다 기온이 높을 전망이어서 이삭이 팰 때 쯤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잘 발생하는 벼 세균병이 중북부 지역에서도 발병할 것으로 우려된다.
세균벼알마름병이 생기면 이삭이 곧게 선 채 이삭목과 이삭가지가 갈색으로 변하지 않고 푸른색을 띤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 중인 벼 품종은 세균벼알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없다. 또, 수량을 늘리기 위해 질소 비료를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품질이 떨어지고 발병도 심해지기 때문에 표준량을 넘지 않도록 한다.
종자는 등록된 종자소독제1)로 냉수에 4시간, 58℃에 5분 처리하는 냉수온탕침법으로 소독한다. 이는 다른 종자전염병 방제에도 효과적이다.
저항성을 유도해 발병을 억제하는 티아디닐 제제를 함유한 약제를 육묘상이나 이앙 후 처리하면 방제 효과를 볼 수 있다.
- 벼 생육기에 적용할 수 있는 방제 약제는 한국작물보호협회 누리집(http://www.koreacpa.org)의 ‘농약사용지침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2)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노태환 과장은 “올여름은 기온이 높을 것으로 예상돼 세균벼알마름병 발생이 우려된다.” 라며, “방제가 쉽지 않은 만큼 파종 전에 종자 소독을 철저히 해 예방에 힘써야 한다.” 라고 말했다.
-------------------------------
1) 카프로파미드·플루디옥소닐·이미다클로프리드종자처리수화제
2) 한국작물보호협회 누리집(http://www.koreacpa.org) 접속-오른쪽 위 ‘협회구버전’ 누름-‘농약도우미’-‘농약사용지침서’(http://www.koreacpa.org/new/sub.html?sub=9&po=1&item=&crops=&chemist=&apply=세균벼알마름병&brand=&page=5)
[문의] 농촌진흥청 재배환경과장 노태환, 재배환경과 심형권 031-695-0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