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이달의 신간
- 작성일
- 2018-05-31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98
첨부파일(1)
-
-
농촌진흥청 이달의 신간.jpg
0 hit / 69 KB
-
농촌진흥청 이달의 신간.jpg
- 이달의 신간 -
■ 「알기 쉬운 시설원예 스마트팜 용어 설명집」 발간
이미지 대체 내용을 작성합니다.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시설원예 스마트팜과 관련된 주요 용어를 알기 쉽게 풀이한 ‘시설원예 스마트팜* 용어 설명집’을 펴냈다.
* 스마트팜: 온실의 자동화 제어 요소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생육 환경을 관측하고,알맞은 환경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
이 책은 500여 개의 주요 용어를 시설과 시스템, 빅데이터 수집 등 분야별로 나눠 실었다.
부록에는 스마트팜 경영에 도움이 되는 농가 소득 조사와 생육 조사 항목을 넣었으며, 6월부터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유승오 과장은 “이 책자가 스마트농업의 확산을 위한 현장 기술 지원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바라며, 앞으로 스마트 영농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술보급과 농촌지도사 차지은(☎063-238-0979)
■ 「논 이용 감자 생산 전과정 기계화 기술」 발간
이미지 대체 내용을 작성합니다.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논에서 감자를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는 지침서인 ‘논 이용 감자 생산 전 과정 기계화 기술’을 발간했다.
감자 재배를 위한 본답 준비와 파종, 줄기 파쇄, 수확까지 전 과정을 기계로 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논에 감자를 재배하기 위한 논 배수 개선과 노동력을 줄이는 기계화 기술과 고품질 감자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 등이다.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6월 초부터 검색해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식량산업기술팀 박홍재 팀장은 “감자를 비롯한 논 이용 밭농업 기계화 재배 기술의 보급을 늘려 노동력 절감과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 식량산업기술팀 농촌지도사 노석원(☎063-238-1500)
■ 「농촌마을 공동체문화의 가치와 활용」발간
이미지 대체 내용을 작성합니다.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마을공동체와 그 문화적 산물이 지니고 있는 전통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사회에서의 활용 방안을 담아낸「농촌마을 공동체문화의 가치와 활용」을 발간했다.
시대가 바뀌고 가치관이 변하면서 농촌에서도 전통 공동체문화가 사라지고 있지만, 공동체문화는 여전히 농촌의 가치와 정체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이 책은 현재까지 잘 유지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조직과 전통유물을 소개하고, 공동체문화를 활용한 축제, 체험, 교육 등 콘텐츠 개발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공동체문화를 되돌아보고 미래 자산으로서 공동체와 전통문화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관련 사업 담당자들과 주민들에게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발간된 책자는 도 농업기술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배부할 계획이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lib.rda.go.kr)에서도 열람이 가능하다.
[문의] 농촌환경자원과 농업연구사 정명철(☎063-238-2629)
■ 「2018 한우리 사용자 매뉴얼(한우편)」 발간
이미지 대체 내용을 작성합니다.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축산 농장 종합관리 웹프로그램인 ‘한우리’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2018 한우리 사용자 매뉴얼(한우편)」을 펴냈다.
‘한우리’는 가축 사육의 모든 과정을 전산화해 편리하게 농장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농장 단위 해썹(HACCP)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국립축산과학원에서 2013년 개발했다.
이 책은 실제 한우리 보급 교육을 통해 농가가 어려워하는 부분을 파악해 만들었다. 농업인 혼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실행 화면 중심으로 구성한 점이 특징이다.
한우리 프로그램 구조에 따라 해썹(HACCP) 기록관리, 개체관리, 번식관리, 등급관리, 교배관리, 경영관리로 나뉜다. 앞으로 한우 사양·번식·도체·경영 정보를 손쉽게 관리해 농장 소득을 높이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책자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 → 농촌진흥청 발간 자료 → 주요 발간 도서)이나 국립축산과학원 누리집(nias.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또한, 한우리 프로그램은 ‘한우리(hanwoori.nias.go.kr)’ 누리집에서 회원가입 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천동원 농업연구관은 “이 책자는 축산 농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해썹 시스템을 적용하려는 한우 농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문의] 기술지원과 농업연구관 천동원(☎063-238-7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