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이모작·삼모작으로 들깨 심으세요
- 작성일
- 2018-10-12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07
첨부파일(1)
-
-
10-12-2_논이삼모작으로들깨심으세요(식량원).hwp
0 hit / 1768 KB
-
10-12-2_논이삼모작으로들깨심으세요(식량원).hwp
- 조생종 벼 심을 때보다 소득 많고 재배도 수월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논에 이모작이나 삼모작을 할 때 조생종 벼 대신 최근 소비량이 늘고 있는 들깨 재배를 추천했다.
2016년~2017년 남부 지역(밀양)의 논에 조생종 벼 대신 들깨 '다유' 품종을 심었더니 들깨 이모작(양파-들깨)은 24%, 들깨 삼모작(시금치-봄감자-들깨)은 17% 소득이 높았다.1)
이식 재배로 6월 하순~7월 초에 심으면 10월 상순에 수확해 비교적 재배 기간이 짧다. 벼에 비해 1주일가량 늦게 파종해 시간적으로도 여유 있다. 벼보다 10~15일 수확이 빨라 동계작물과 이어짓기와 토양 관리 작업도 유리하다.
'양파-들깨' 이모작은 영호남 대부분 지역에서 가능하며, '시금치+봄감자+들깨' 삼모작은 겨울철이 따뜻한 경남과 전남의 해안지대에서 가능하다. 이랑을 높이 세우면 논 습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 삼모작은 현재 전남과 경남 등 남부 지역 12만 9천㏊에서 가능하며, 경남 고성군 마암면, 하동군 진교면 등에서도 이뤄지고 있음.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논이용작물과 황정동 농업연구사는 "논에 벼 대신 들깨를 심으면 재배 기간 동안 경합이 심하지 않고, 조금 더 수월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다."라며, "들깨를 이용한 이모작이나 삼모작은 농가 소득을 올림과 동시에 쌀 생산 조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1) 쌀값 오름새로 인해 2018년 예상 소득차는 약 10%로 예상됨
*2018년 10월 현재: 쌀 2,336, 들깨 9,516 (원/kg) / 평균 생산량 기준 추정 소득: 쌀 429,546, 들깨 471,489 (원/10a)
[문의] 농촌진흥청 논이용작물과장 고종민, 논이용작물과 황정동 055-350-1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