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수소, 이렇게 키워보세요”
- 작성일
- 2018-12-27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14
첨부파일(0)
- 12개월령 거세해 25개월 출하... 중등육 생산으로 자급률↑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한우 수소의 새로운 사육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한우 사육우리나라 수소의 95.6%는 고급육 생산을 위해 6~7개월령쯤 거세해 30개월까지 살을 찌워 키웁니다. 나머지 거세하지 않은 수소는 22개월에 출하해 육회용, 양념용 고기로 판매합니다.
한우 사육 마릿수가 2019년 320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수소 사육 방식 변화를 통해 수급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수소 사육 기간과 생산비는 줄이면서도 소득은 기존과 비슷하게 얻을 수 있도록 거세 시기를 조절해 중등급 소고기1)를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수소를 △비 거세 △12개월 반 거세2) △12개월 일반 거세(만기 거세), 총 3개 집단으로 나눠 사육한 뒤, 25개월에 출하해 소득과 고기 품질 등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출하 체중은 비 거세 800.5㎏, 반 거세 763.3㎏, 만기 거세 740.2㎏으로, 비 거세와 반 거세의 출하 체중이 만기 거세보다 많이 나갔습니다.
그러나 육질은 비 거세, 반 거세는 2~3등급, 만기 거세구는 1~2등급 내외였습니다.
이에 따른 마리당 소득을 보면, 비 거세, 반 거세는 100만 원 미만이었고, 만기 거세는 약 232만 6천 원(조수입3) 약 758만 8천 원)으로 31개월 출하 전국 평균 소(조수입 780만 5천 원)의 소득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고기의 주요 성분은 비 거세·반 거세의 수분, 단백질, 보수력 등이 만기 거세보다 높았지만, 근내지방(결지방) 함량은 만기 거세가 더 높았습니다. 만기 거세구의 근내지방 함량(12% 수준)은 미국산 프라임급4) 소고기보다도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고기색의 밝기와 맛을 좌우하는 연도(연한정도), 다즙성, 향미(맛과 향), 기호도, 단맛 등도 만기 거세가 비 거세·반 거세보다 좋았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한만희 소장은 "이번 기술로 한우고기를 저렴하게 공급한다면 41%에 불과한 국내산 소고기의 자급률을 높이고, 마릿수 증가에 따른 수급 조절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실험 대상 한우는 13~18개월령까지는 곡물사료를 체중비의 1.8% 정도 주고, 25개월까지는 사료를 자유롭게 먹도록 했습니다.
[참고자료] 한우 만기 거세가 육량, 육질 등에 미치는 영향
---------------------------
1) 육질 1~2등급 내외의 소고기로 구이용과 불고기 등 양념육 등으로 고루 이용할 수 있는 대중성이 있는 소고기를 말함.
2) 정소의 한쪽만 제거해 수소와 완전 거세우의 중간적인 성격으로 육질과 육량이 중간임.
3) 송아지 가격과 사룟값을 제외하지 않은 전체 수익금.
4) 미국 소고기는 프라임, 초이스, 셀렉트 3개 등급으로 나누는데 프라임은 가장 육질이 우수한 소고기지만 미국산 소고기 전체의 2%에 지나지 않음.
[문의]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장 한만희 , 한우연구소 장선식 연구사 033-330-0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