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올해 곡물 455만 톤 생산...2년 연속 감소
- 작성일
- 2018-12-27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42
첨부파일(0)
- 농촌진흥청, 2018년 북한 곡물생산량 발표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는 올해 북한 지역의 기상과 병충해 발생 및 비료수급 상황, 국내외 연구기관의 작황자료와 위성영상분석 결과 등을 종합 분석해 '2018년도 북한의 곡물생산량'을 추정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한 해 동안 북한에서 생산된 곡물은 총 455만 톤으로, 지난 2017년도 471만 톤에 비해 약 16만 톤(약 3.4%) 가량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작물별 생산량은 쌀이 220만 톤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옥수수 150만 톤, 감자류 54만 톤, 보리류 15만 톤, 콩류 및 기타 잡곡 16만 톤 등 이었습니다.
북한의 쌀 생산량은 작년 대비 1만 톤(0.5%) 소폭 증가했는데, 그 이유로는 7~8월에 수량 상승요인인 높은 일사량과 수량 감소요인인 평년을 상회하는 고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옥수수는 작년 대비 17만 톤(10%)의 큰 폭 감소가 추정되는데 이는 개화기(7월) 및 등숙기(8월)의 고온과 가뭄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서류(감자)는 작년 대비 1만 톤(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봄철 재배 시 적정한 기후 조건으로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여름철 재배는 감자가 굵어지는 시기(7월 하순~8월 상순)에 고온과 가뭄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되었을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두류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사이의 폭염으로 작년 대비 1만 톤(7%)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북한지역 7월 하순부터 8월까지의 평균 최고기온은 30.4℃로 작년 및 최근 5년 평균보다 각각 3℃, 2.4℃ 높았으며, 7월의 가뭄과 8월말의 태풍이 곡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제협력기술과 권택윤 과장은 "작물 생육기간 동안 여름철의 가뭄과 평년을 상회하는 고온으로 인해 곡물 생산량이 작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라고 전했습니다.
[참고자료] 2018년 북한 곡물생산량 및 북한기상 개요
[문의]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장 권택윤, 국제기술협력과 박동식 연구관 063-23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