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바이오차 팰릿’ 활용한다
- 작성일
- 2018-12-27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60
첨부파일(0)
- 농촌진흥청, 바이오차 팰릿 활용 탄소 격리 기술 개발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농업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바이오차(Biochar) 팰릿을 활용한 탄소 격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바이오차는 가축분뇨나 농산부산물과 같은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해 고체로 만든 일종의 숯입니다. 땅 속에 탄소를 가둬 온실가스로 배출되는 탄소 양을 줄이고,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 등 토양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줘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돈분 퇴비에 바이오차를 8대 2로 섞어 팰릿(pellet)1) 형태로 만든 것입니다.
양분 용출 모델2)을 사용해 바이오차 적정 혼합비를 연구한 결과, 돈분을 팰릿으로 만들 경우 수계 부영양화3)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암모늄태 질소와 인의 용출량은 각각 19%, 49% 줄었으며, 작물의 병해 저항성을 돕는 규산의 함량은 62% 늘었습니다.
개발된 바이오차 팰릿형 비료는 경작하고자 하는 작물의 질소 추천 사용량 기준 40%에 해당하는 양을 전량 밑거름으로 써 작물을 재배하면 수확량 변동 없이 영농활동으로 토양 중에 탄소를 격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과 관련된 연구 내용은 지난 11월 국제 학술지인 응용과학회지(Applied Sciences)에 게재돼 학문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특허 등록4)했으며, 내년부터 산업체에 기술 이전해 실용화할 계획입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장은숙 과장은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총 배출량의 3%로 매우 적은 편이지만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한 때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표, 바이오차 팰릿 형태에 따른 질소, 인산, 가리 및 규소에 대한 총 용출량 비교
--------------------------
1) 팰릿(pellet):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 가공한 형태
2) 양분 용출 모델: 바이오차 팰릿에서 작물 생육에 필요한 질소, 인산, 가리와 같은 양분이 녹아 나오는 양을 예측한 수식
3) 수계 부영양화: 수계에 질소와 인의 농도가 과하게 되면 조류가 급속히 자생하는 현상
4) 바이오차 및 가축분뇨를 이용한 팰렛 형태의 완효성비료 제조방법(제 10-1889400호)
[문의] 농촌진흥청 기후변화생태과장 장은숙, 기후변화생태과 신중두 연구사 063-238-2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