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만점 우리밀 케이크 최고 솜씨는 누구(식량원)
- 작성일
- 2019-05-13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04
첨부파일(1)
-
-
05-08-1_개성만점우리밀케이크최고솜씨는누구(식량원).hwp
0 hit / 49 KB
-
05-08-1_개성만점우리밀케이크최고솜씨는누구(식량원).hwp
- 농촌진흥청, 8일 우리 밀 케이크 만들기 경연대회 개최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8일 전주시내에 위치한 우리 밀 제과·제빵 체험장에서 '우리 밀 케이크 만들기'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우리 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높여 소비를 확대하고 우리 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이날 제빵·제과 기능장을 꿈꾸는 고등학생과 초등학생 약 100여 명이 참가해 우리 밀로 만든 케이크를 자신만의 개성으로 완성하는 방식으로 실력을 겨룬다.
수상자로는 최우수상 1명(농촌진흥청장상)과 우수상 1명, 장려상 2명을 선정한다.
농촌진흥청은 우리 밀 산업 발전을 위해 용도에 맞는 고품질의 품종을 꾸준히 개발해왔다.
이번 대회에 사용한 '고소'밀은 2010년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품종으로 단백질과 글루텐1) 함량이 낮아 과자류를 만들기에 적합하다.
* '고소'밀은 천안, 전주, 익산, 광주의 밀 재배단지 250ha 면적에서 연간 1000여 톤이 생산되고 있다.
'고소'밀은 천안의 호두과자, 전주의 수제초코파이와 천주교의 밀전병 원료로도 사용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 밀 소비량은 연간 200만 톤에 달하나 우리 밀 생산량은 3만 톤 정도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우리 밀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낮은 편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밀연구팀 박태일 과장은 "이 대회를 계기로 우리 밀의 소중함을 알게 되고, 우리 밀을 이용한 제품 생산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바란다."라며, "우리 밀 산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정부와 관계기관, 산업체가 노력하고 있으니 우리 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기를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우리 밀 케이크 만들기 경연대회 계획
-------------------
1) 빵이나 면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보리, 밀 등의 곡류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로 글루텐 함량은 밀가루의 종류를 결정하기도 한다.
[문의] 농촌진흥청 밀연구팀장 박태일, 강천식 연구사 063-238-5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