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농업기술원, 먹노린재 적기방제 당부
- 작성일
- 2020-07-08
- 등록자
- 김영훈
- 조회수
- 107
첨부파일(1)
-
-
먹노린재 성충.jpg
0 hit / 151 KB
-
먹노린재 성충.jpg
전남농업기술원, 먹노린재 적기방제 당부
- 먹노린재 본논 이동 전년보다 7~10일 빠를 것으로 예상-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박홍재)은 지난겨울(`19.12.~`20.2)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월동해충인 먹노린재 발생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벼 재배농가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 6월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먹노린재는 21개 시군에서 7,797㏊ (벼 재배면적의 5.2%)발생하여 전년보다 19.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겨울철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1.9℃ 높아, 먹노린재 본논 이동시기도 작년보다 7~10일 빨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먹노린재는 낙엽속이나 잡초 밑에서 겨울을 보내고, 모내기 시기인 6월 상․중순경 본논으로 이동하여 벼의 잎과 줄기를 가해하며, 벼 줄기 속 어린이삭을 흡즙하여 반점미를 유발한다.
먹노린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본답 이동 최성기인 6월 하순~7월 상순에 논두렁과 논 가장자리 위주로 약제를 살포하고, 벼가 어린시기에는 논바닥까지 물을 빼고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전남 15개 시군에서는 친환경단지를 중심으로 33억원의 방제비를 편성하여 6~7월 중점방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2차 발생기인 출수기 전후(8월상․중순) 벼 기본방제기간을 설정하여 먹노린재 집중방제에 나설 계획이다.
전남농업기술원 관계자는“최근 먹노린재가 친환경단지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벼 밑부분에 서식하는 먹노린재는 벼가 성숙해질수록 방제가 어려우므로 벼 생육초기에 방제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기술보급과 이정훈 주무관 061-330-2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