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농업기술원, 벼멸구 피해 우려...집중방제 당부
- 작성일
- 2020-09-11
- 등록자
- 김영훈
- 조회수
- 199
첨부파일(1)
-
-
202009090613426870.jpg
0 hit / 310 KB
-
202009090613426870.jpg
<벼멸구 피해>
전남농업기술원, 벼멸구 피해 우려....집중방제 당부
- 최근 저기압을 타고 중국에서 날아오는 벼멸구 발생량 급증 -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박홍재)은 최근 중국에서 날아와 벼에 피해를 주는 벼멸구 발생이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농가에 적극적인 방제를 당부했다.
벼멸구는 매년 6월 하순부터 장마전선, 태풍 등 저기압 통과 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2~3세대를 경과하며 발생밀도는 9월에 가장 높다.
특히 올해는 중국 내 벼멸구 발생이 많았고, 유례없이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국내 유입량이 증가하였으며, 8월 고온으로 세대가 짧아짐에 따라 최근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다.
벼멸구는 주로 벼 포기 아랫부분에 집단서식하여 볏대의 즙액을 빨아먹는데, 피해를 받은 벼는 잎집이 누렇게 변하고, 벼 알수가 적어지며 피해가 심할 경우 벼가 완전히 말라죽는다.
이에 따라 전남도에서는 9월 11일까지를 중점방제기간으로 지정하여 벼멸구, 혹명나방, 도열병 등 최근 벼에서 피해가 우려되는 병해충에 대한 집중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전남농업기술원 김남균 기술보급과장은“최근 친환경단지와 방제 소홀 필지를 중심으로 벼멸구 피해가 우려된다. 먼저 반드시 예찰하고 발생이 많은 지역은 지금 방제하지 않으면 벼 수확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적기 방제를 실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기술보급과 이정훈 주무관 061-330-2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