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은 친환경농업으로
- 작성일
- 2011-06-24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86
첨부파일(0)
전종화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
우리들이 초등학교에 다닐 때는 ‘한반도의 기후는 온대몬순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철은 삼한사온(三寒四溫)으로 사흘간 춥다가 나흘간은 따뜻하다’고 배웠다. 즉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역사가 말해주듯 벼농사중심의 농경문화로 그 명맥을 이어왔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을 야기하는 기후변화 혹은 지구온난화 문제는 지구촌의 커다란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4차 보고서는 지구온난화로 지난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온도가 0.74℃ 상승했으며, 21세기 말에는 6.4℃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할 때 지구 생물의 최대 50%가 멸종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러한 경고는 더 이상 공상과학영화 속에서만 해당하는 경고가 아니어서 그 위기를 더욱 걱정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농작물 재배지도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지구의 평균기온이 2℃ 상승하면 벼 수확량은 4.4% 줄고, 사과 재배면적은 현재보다 34%, 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은 70% 이상 주는 등 농식품분야에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과거 교과서에서 배웠던 경북은 사과, 제주는 감귤 등의 주산지는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온대과일인 사과의 경우 주산지 지각변동이 제일 크다. 경북영주, 봉화를 주축으로 충북충주, 제천을 지나 강원도 영월까지 재배한계선이 올라가고 있다. 냉해에 약한 복숭아 역시 경북경산에서 강원도 춘천까지 재배되어지고 있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했던 망고, 구아바, 파파야등 아열대 과일도 고흥, 완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아열대과일 재배확대 등은 새로운 농가소득 작목으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나, 기후변화가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않아 농가에 심각한 타격이 될 수 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위기는 항상 기회를 동반한다고 하였다. 준비를 하지 못한 자에게는 위기로 다가오지만 준비를 한자에게는 기회로 오게 마련이다. 농업은 탄소흡수산업이다.
특히 친환경농업에 있어서는 그러하다. 최근 정부에서 기후온난화에 농식품분야 대책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존 전망치보다 35% 줄이고 산림분야 온실가스 흡수량은 기존 예상치보다 6% 올릴 계획이라고 한다.
특히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도록 논에 물을 항상 가둬 두지 않고 며칠간 뺐다가 다시 넣는 물 걸러대기를 확대하고 무경운 농법과 같은 저탄소 농법을 개발, 보급하고 목재펠릿·지열·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 모든 정부의 정책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동안 우리 전남이 역점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친환경농업정책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환경농업은 일반관행농업보다 환경부하를 크게 경감시키는 농업이다. 그래서 유럽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인정하여 농업부문과 환경부문의 예산을 농가에게 직접지불형태로 지원해 주고 있다.
그동안 증산정책에 따라 수탈농업으로 땅을 혹사시켰다면 이제 그 땅(심)을 복원시켜 줘야 할 시기다. 화학비료, 화학합성농약의 폐해가 더 이상 번지기 전에 농업정책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환경보호에는 국경이 있을 수 없고, 국민의 안전한 먹을거리 또한 한치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이를 나만 실천하고 상대가 실천하지 않는다면 상대는 무임승차를 하는 것과 같다.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대책의 해법 바로 다함께 실천하는 친환경농업이 대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