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농업인 노후소득보장 지원 정책 필요
- 작성일
- 2011-09-22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80
첨부파일(0)
전남지역 고령농업인의 생활개선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고령농업인 노후소득보장지원(56.4%)'을 위한 안정적인 농촌생활 유지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발전연구원 장덕기·조창완 책임연구위원과 채종훈 조선대 초빙교수는 ‘전남지역 고령농업인의 의식조사 및 지원방안’이라는 주제로 발간된 '리전인포(부정기간행물)' 제258호에서 이같이 밝히고, 고령농업인을 대상으로 영농활동, 농촌생활, 노후생활 및 노후복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고령농업인의 지원방안을 모색했다.
연구팀은 고령농업인의 영농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농업에 종사하는 이유로 ‘정년 없이 일할 수 있어서(47.2%)’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농활동 참여시 애로사항 1순위로는 ‘농산물가격 변동(48.2%)’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농촌생활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 ‘농촌생활에 만족한다’가 34.8%를 나타냈으며, 이농을 생각하는 이유로는 ‘노동력 부족 등 농사여건 악화(39.0%)’로 조사됐고, ‘경제적인 문제(43.6%)’가 농촌생활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집계됐다.
노후생활 및 노후복지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 생활비 조달 방법으로 ‘전액 스스로 마련(53.9%)’이 과반수를 넘었으며, 노후생활 준비 수단으로는 ‘저축(44.7%)’이 가장 많았고, ‘아무 대책 없음(27.7%)’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노후대책의 심각성이 제기됐다.
또한 생활비 지출이 가장 많은 분야는 ‘의료비(32.3%)로 집계됐으며, 우선적으로 확대 지원해야할 복지서비스는 ‘교통수단, 노령연금 등 현금 보조지원서비스 (41.5%)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항목별 지원방안으로 영농활동개선의 경우 ▲농기계 임대화 사업, 농가보급형 육묘장 사업, 소규모 저온저장고 지원사업 등 지원사업 확대 ▲생산 농산물의 안정적인 판로구축 및 저노동투입형 농외소득원 일자리 창출 ▲영농도우미 지원사업, 가사도우미 지원 사업 등 고령농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보조사업 지원 및 지원 기간 연장 등을 제안했다.
이어 농촌생활은 ▲독거 고령농업인의 의·식·주 개선을 위해 마을회관이나 노인정을 이용한 집단주거시설을 조성하고 운영경비 지원 ▲농촌생활 및 의료복지서비스 지원체계의 재정비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노후생활 개선으로는 ▲지역중점 추진사업인 한옥민박사업, 마을 숲 정비사업, 저수지 수변공원 조성사업, 농어촌테마공원 조성사업, 생태지방하천 조성사업 등과 고령농업인 소득증대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 ▲농지연금을 통한 고령 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 생활 보장 확대 등을 내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