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농 한국 농업의 미래를 말하다 ㅡ강소농 육성 전략
- 작성일
- 2011-09-27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79
첨부파일(1)
-
-
1317082732_0213.jpg
0 hit / 41 KB
-
1317082732_0213.jpg
농가 경영진단하고 처방해 교육·기술보급
‘강소농(强小農)’. 3월 첫 삽을 뜰 때만 해도 낯선 단어였다. ‘작지만 강한 농업’이란 의미로 두고 봐도 생소하기는 매 한가지. 1㏊ 미만의 소농이 전체 농가의 65.7%인 우리나라에서는 꼭 필요한 사업이라는 농촌진흥청의 설명에도, 2015년까지는 10만농가를 육성하는 게 목표라는 ‘거창한 계획’이 발표되었을 때도 ‘공허한 구호’로 느껴졌다. 전국 곳곳의 농가들에 ‘꿈과 하면 된다’는 의지를 어떻게 심어 줄 것이며, 농가 소득 10% 향상은 너무 막연하지 않을까. 사업을 시작하고 7개월 가까이 지난 지금, 전국 방방곡곡에서 ‘강소농’을 통해 희망의 불씨가 자라는 게 보인다. 현재 시·군당 평균 100농가가 신청, 현재 1만5,280농가가 참여해 ‘강소농의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지금 현장에서는 강소농 선정 농가의 ‘소득 10% 향상’을 위한 작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강소농 육성의 중심 강소농 매니저=도농업기술원이나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지도직 공무원들은 강소농 사업의 핵심 역할을 한다.
이들은 ‘강소농 매니저’와 ‘강소농 품목 매니저’로 움직인다. 도농업기술원이나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농가를 대상으로 강소농 업무를 맡는 이들은 강소농 매니저로, 기존에 품목 담당업무를 맡던 직원은 강소농 품목 매니저로 활동한다. 이들은 강소농 선정 농가를 대상으로 경영 진단을 하고 이에 맞는 처방과 함께 컨설팅, 교육 및 기술보급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강소농 매니저는 6월 말에 강소농 농가의 경영 진단과 처방을 마쳤으며 각 농가의 진단 결과와 처방은 강소농 홈페이지에 올릴 계획이다. 현재는 교육과 기술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역 담당제 운영=농진청은 지방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농진청 간부 167명으로 이뤄진 ‘지역 담당제’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담당관은 분야별 전문성을 고려해 지정, 각종 평가회나 순회교육을 한다.
또한 도농업기술원이나 시·군농업기술센터의 강소농 매니저와 상시 연락 체계를 유지해 지역 문제 해결이나 강소농 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적극적으로 해결,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역 담당관은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지역을 방문해 농가의 영농 애로 사항을 듣고 해결에 나서고 있다.
◆유관기관과의 전략적 협약=강소농의 효율적 육성과 지원을 위해 농업 관련 기관과 업무협약(MOU)을 하고 다양한 민간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MOU를 한 기관은 농협, 중소기업청, aT(농산물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가 있으며 각 기관의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협조받아 강소농 육성에 활용하고 있다.
중소기업청과는 농업인 창업 지원을 목표로 한다. 이미 ‘농공산 융합 엑스포(EXPO)’를 공동 개최해 사업 지원과 창업 컨설팅 등을 실시했으며, 농식품 가공분야 강소농 신청 농가를 대상으로 소규모 창업 계획 수립과 세무 회계, 매출·광고 전략 등에 대한 교육을 4회 했다.
aT가 맡은 역할은 농산물 수출지원. 현재 배 수출농가와 수출업체 등을 대상으로 수출농산물 농약안전성 관리 교육을 8회에 걸쳐 755명이 받았다. 파프리카, 방울토마토, 고추, 멜론 수출 농가 200명은 전문가로부터 합동컨설팅을 받기도 했다.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는 향토산업육성과 지역특화 품목 육성, 도농 교류 지원을 협조받고 있다. 지난여름 농어촌 여름휴가 페스티벌을 개최해 농어촌마을을 홍보한 것도 그중의 하나.
특히 농협과는 유통, 마케팅의 전문가 교육 및 컨설팅에 함께 참여하고 농자재의 안전 및 유통 관리 업무에도 협력하게 된다. 지난 8월29일 MOU를 한 후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축산물의 생산·가공·유통·마케팅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한편 지난 20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의 농진청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은 “소농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에서 강소농 육성은 현실을 직시한 사업”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한 후 “농가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소농들이 경쟁력을 키울 수 있게 적극적으로 추진해달라”는 주문을 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