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농기자재 조심 또 조심
- 작성일
- 2011-11-18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24
첨부파일(0)
#사례.1
30여년째 심비듐 농사를 짓는 송용운씨(62·경기 안산시)는 얼마 전 울화통이 또 터졌다. 3년 동안 2,600만원을 들여 한 업체의 전기온풍기 4대를 설치했는데 업체 부도로 수리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전에 연탄보일러도 똑같이 당한 경험이 되살아나 더욱 천불이 났다.
#사례.2
2009년 지방자치단체 보조사업으로 1,200만원짜리 저온저장고(16.5㎡·5평)를 설치한 임근택씨(64·인천 강화군)는 며칠 전 황당한 경험을 했다. 교통사고로 며칠 집을 비웠다가 돌아와 보니 3℃로 맞춰 놓은 저장고 온도가 17.5℃까지 올라가 버렸다. 간신히 연락이 닿은 업체 사장은 오히려 임씨의 잘못인 것처럼 말하며 아직까지 수리 및 피해농산물 보상 등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다.
농기자재가 고장이 났을 때 사후서비스나 피해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성능을 과장 홍보하며 달콤한 말로 유인해 기계를 판 뒤에는 나 몰라라 하는 양심불량 업체들이 적지 않다는 게 피해농민들의 주장이다.
일부 업체들의 경우 특정 지역에 불량 농기자재를 판 뒤에 고의로 부도를 내고 이름만 바꿔 다른 지역에서 똑같은 방법으로 농민을 우려먹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런 일을 당하면 농가들은 애태우며 발만 동동 구를 수밖에 없다. 온도 등에 민감한 작물은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허다하다. 몇번씩 수리기사가 오가다 보면 출장비와 부품비도 만만치 않게 들어간다.
그나마 업체가 사후서비스를 해 주면 다행이다. 업체가 없어지거나 고의로 회피하는 경우 농민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다른 업체를 통해 추가비용을 부담하며 고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송씨와 임씨는 “어디에 하소연할 데도 없고 촌사람이라고 무시당하는 것 같아 자괴감마저 든다”며 “농가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대책이 나오길 바란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지자체들이 보조사업에 참여하는 업체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농가들도 우수 농기자재를 선택하는 게 결국은 이익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낙우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품질보증팀장은 “지자체들이 보조사업을 추진할 때 조합에서 융자판매 대상 기종에 발부하는 ‘품질 및 사후봉사 이행보증서’를 제출하는 업체로 자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불량 농기자재 유통을 근절시켜 농민의 피해를 예방하고 사후봉사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의 취지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농가들이 제품 특성을 꼼꼼히 살핀 뒤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현명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조금 범위 안에서 또는 다른 회사보다 큰 폭으로 할인해 판매하겠다는 업체들의 제품은 불량 농기자재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피해를 입었을 때는 한국소비자원이나 농협 법률구조사업을 적극 이용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