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규모화·조직화
- 작성일
- 2011-12-01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58
첨부파일(0)
시장교섭·지배력 키워라
도, 농업회사 등 속도…“저리융자 등 지원체계 뒷받침돼야”
FTA 파고를 넘기 위한 전남 농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으론 친환경 농축산물 생산과 더불어 농업의 조직화와 규모화가 꼽힌다.
대내외 시장 지배력을 높이기 위한 들녘별경영체, 종합·품목별유통회사 설립 등이 대표적으로, 농어촌진흥기금을 활용한 저리융자 등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영세한 전남 농업경영체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2009년 말 현재 전남지역 농업법인은 모두 2,452개소로 이중 2,280개소(92.9%)가 영농조합법인이고, 농업회사법인은 172개소(7.0%)에 불과했다.
전남지역 농업경영체는 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개별 경영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농협을 통해 공동수송, 공동판매를 보완하는 작목반이 주류였고, 우루과이라운드(UR) 이후 2000년대 초반까지는 영농조합법인이 대세를 이뤘다.
그러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중앙 정부의 대규모 사업이 지원되면서 농협공동사업법인 또는 품목별 농업회사법인, 종합유통회사 등이 하나 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영농조합 형태가 여전히 9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데다 이들 상당수가 영세성을 면치 못하면서 전남 농업의 경쟁력 강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농림사업을 지원받기 위해 무분별하게 설립되거나 설립 신고제 폐지에 따른 사후관리난으로 개점 휴업상태인 ‘무늬만 농업법인’이 전남에 823개소(영농조합 747, 농업회사 76)로 전체 농업법인의 34%에 이르고 있다.
◇농업회사 등 규모화로 돌파구
FTA 등 농산물 시장 확대에 대비해 전남도는 농업경영체의 규모화·조직화를 서두르고 있다.
무늬만 농업법인에서 탈피해 지역 특화품목을 중심으로 조직화·규모화 된 농업회사를 육성, 시장 교섭력과 지배력을 확대한다는 게 핵심이다.
이를 위해 전남도는 2014년까지 들녘별 주식회사 형태로 쌀 농업회사법인 70개소를 비롯, 원예 및 특작 69개소, 축산 8개소, 산림 7개소 등 모두 154개소의 농업회사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다.
쌀의 경우 RPC(미곡종합처리장)를 중심으로 계약재배 단지, 탑라이스 재배단지 등과 연계, 올해 현재 31개소인 농업회사를 앞으로 3년간 70개소로 늘린다는 복안이다.
100ha 이상 집단화 지역이 대상이며 들녘별 품종통일, 공동육묘·방제·수확을 통해 생산비 절감과 품질향상을 도모키로 했다.
매실, 파프리카 등 원예·특작 분야는 비교우위품목 및 시군대표 품목을 중심으로 영농법인 등을 통합해 현재 25개소인 농업회사를 2014년까지 69개소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전남도는 공동선별·포장·유통(공동브랜드)으로 생산비 절감 및 소비자 인지도 제고 등을 기대하고 있다.
또 시군 특화품목 생산·가공업체와 연계해 종합유통회사를 2014년까지 12개소로 늘린다는 계획이며, 유통전문가 영입, 브랜드 개발, 마케팅·홍보를 통해 판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경영체 규모화, 조직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체계가 갖춰지지 않을 경우 난항이 예상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남발전연구원 조창완 책임연구위원은 최근 정책보고서를 통해 농업 생산조직의 규모화·조직화, 품목별 경영체 육성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한 뒤 이를 위해 ▲농어촌진흥기금을 활용한 저리융자제도 도입 ▲향토산업·광역식품산업클러스터 사업과 연계한 신규 농업경영체 지원 ▲경영체간 협의체 구성 등을 제시했다.
분야별로는 쌀 경영체의 경우 시·군단위 연합 브랜드로 육성하고, 원예는 주산지 시·군을 대상으로 브랜드 경영체로 육성할 것, 과수는 거점 APC별 중점육성 지원 및 FTA기금사업과 연계, 축산은 성공 가능성이 높은 소·돼지를 중심으로 규모화된 지역을 우선 선발하고 추후 도 단위 광역 경영체로 육성할 것을 주문했다.
조 위원은 “농업경영체 대부분이 소규모 조직으로 계약재배, 회원제 방식을 통한 조직화, 체계적 품질관리, 사업규모화 등 안정적 농산물 공급을 위한 경영기반이 취약하다”며 “부존자원과 특성, 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파악한 뒤 지역농업 조직화에 참여하고 있는 각 주체의 합의하에 장기적으로 지역농업의 비전과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