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영농비결 비결 ‘느타리버섯 봉지재배법’
- 작성일
- 2011-12-14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386
첨부파일(1)
-
-
1323822951_noname01.jpg
0 hit / 19 KB
-
1323822951_noname01.jpg
이남주씨는 32년째 버섯을 재배해 온 버섯 전문가이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느타리버섯 봉지재배법을 개발,
병재배에 비해 4~5배 높은 가격을 받고 있다. ‘자연아래버섯’ 대표로
느타리버섯 외에 영지, 상황, 표고버섯 등을 재배하고 있다.
온습도·환기 통제할 시설 갖춰야
대부분의 버섯은 줄기보다 갓 속에 좋은 성분들이 많이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는 버섯 대부분은 갓이 적고 대가 긴 모양이다. 상인들이 갓이 크면 잘 부서지자 갓이 적고 대가 긴 버섯을 선호하면서부터 변형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버섯은 자연과 가장 가까운 것을 생산해야 하며, 그렇게 하려면 배양체의 크기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느타리버섯 봉지재배는 배양체의 크기를 조절하기 쉽고 균상재배의 약점도 보완할 수 있다. 시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다소 높지만 연중생산이 가능하고 균 배양과 버섯 생산의 분업화가 가능해 재배가 늘고 있다. 병해충에 의한 실패위험이 적고 자동화율이 높아 노동력도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느타리버섯 봉지재배법을 소개한다.
양질의 버섯을 수확하려면 온습도, 환기, 광 등을 통제할 수 있는 완벽한 자동화시설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다한 비용이 들 뿐 아니라, 여러 주기 버섯을 생산할 때 버섯 성장 및 주기단계에 따라 온습도·환기·관수량이 가감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동화는 큰 의미가 없다. 또 탄산가스 축적량 및 환기와 풍속이 버섯에 미치는 영향 등 변수가 너무 다양하다. 현재는 경험에 의한 기술적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연중 생산체계를 갖추어야 하는 전업농이라면 재배사의 유형과 관계없이 가온기와 냉방기를 설치해야 한다.
◆표준하우스=폭은 5.5~6m, 길이는 노동인원에 따라 10~15m로 하여 6칸이면 가족 형태의 전업시설이 된다(장기 수확형은 1실 수확기간이 2달로 6실이면 적당하고, 단기 수확형은 1실 수확기간이 15일로 3실이면 적당하다. 3인의 노동력이면 1실 입상면적은 균상 83㎡(25평) 정도가 좋다).
◆온냉방과 가습시설=가온시설은 균상 165㎡(50평) 전후일 때 2만㎈ 가정용 기름보일러 또는 12㎾의 전기히터가 필요하다. 냉방시설은 균상 165㎡일 때 냉방기는 반 밀폐형 7.5마력, 실내기는 S타입으로 7.5마력으로 한다. 온냉방기로 인한 바람은 덕트를 설치하여 배지나 버섯에 영향이 적도록 한다.
가습시설은 고압분무기로 관수해 수분을 공급하고 습도를 유지·관리한다. 이때 보조수단으로 가습기를 설치한다. 버섯에 세균성 병해가 없었을 때에는 적온·적습이면 다량의 수확이 되었는데 요즘에는 버섯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의 폭이 좁아져 재배사 내의 건조에 대비해 가습시설을 설치하는 게 좋다. 균상 넓이가 165㎡ 전후라면 미세발출 가습기 2대면 충분하다. 가습시설은 어디까지나 보조기구로 생각하고 과습이 지속되면 다른 세균의 감염이 쉽게 돼 버섯 재배에 실패하기 쉽다.
◆환기시설=강제 환기시설에는 밑쪽 사각 모서리에서 빼내는 환풍기가 필요하다. 또 기류가 형성될 우려가 있는데, 음압일 경우 흡입구는 실내 전체에 공기가 골고루 흐르도록 유공관과 같이 작은 구멍이 뚫린 덕트를 설치하거나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환기구를 내어 하우스 내의 정체되는 공기가 없도록 한다. 양압일 경우에도 공기가 균일하게 빠지도록 한다. ※ 측정기구를 설치해 탄산가스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못할 때는 1분 이하 단위의 타이머를 사용하는 게 좋다. 10분 단위 이상의 타이머는 실내의 공기가 맑고 탁함이 반복되어 버섯에 충격을 준다. 탄산가스의 변화에 따라 환풍기가 작동되는 시설을 할 경우도 탄산가스가 아닌 다른 유해 가스의 피해도 고려해야 한다. 자연식 환기라면 창문은 천창과 측창이 하우스 전체에 고루 설치되도록 한다.
◆조명과 균상시설=재배사를 관리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밝기면 된다. 광은 버섯대의 길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색깔에 영향을 줌으로 광질은 청색이 좋으나 해충의 유인력이 강하다. 발광다이오드(LED)나 일반전구로 균상 전체에 골고루 비치도록 설치해도 무방하다. 광이 너무 밝으면 물곰팡이가 생기기도 한다.
균상시설은 제한이 없으나 버섯 관리에 있어서 수확하기, 관수하기, 입·폐상 하기가 수월하고 유해 가스 피해를 덜 받는 형태가 좋다. 배지가 굴러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기울기와 서서 수확할 수 있는 높이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