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병해충관련입니다.
- 작성일
- 2014-10-02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14
첨부파일(0)
안녕하십니까? 농업기술센터 채소담당자 장성오입니다.
보내주신 사진을 확인해 본 결과 피해증상으로 봤을때 바이러스병인 것 같습니다.
1. 병명 및 병원균: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Turnip yellow mosaic virus, TYMV)병
2. 병징(피해증상)
●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Turnip yellow mosaic virus, TYMV )에 감염된 식물체는 황화,
모자이크, 괴사, 기형 등의 증상을 일으켜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 초기에 감염된 배추는 잘 자라지 않거나, 배추 속이 잘 채워지지 않음
● TYMV는 유럽(영국, 포르투칼, 덴마크, 프랑스, 독일), 호주, 일본 등에서 종자 및 벼룩잎벌레에 의해 급격히 확산되어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3. 발생생태
● 바이러스에 걸린 식물체에서 생산된 종자를 통해 전염됨
● 벼룩잎벌레, 검정배줄벼룩잎벌레 등에 의해 병이 확산됨
- 병에 감염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 먹은 성충과 약충에 의해 다른 식물체로 전염은 되지만 비영속적이며 다음 세대로의 전염은 되지 않음.
- 배추 등 재배포장 주변의 십자화과 잡초가 병에 감염되었을 경우 벼룩잎벌레 등이 잡초에서 생활하다가 아주심기 후 건강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어 병이 발생 됨
● 배추, 무, 순무, 양배추, 열무, 유채, 갓, 애기장대, 냉이, 개갓냉이, 속속이풀 등 십자화과
식물에만 발생됨
4. 방제요령
가. 아주심기(정식) 전 방제(바이러스병이 발생한 밭의 경우)
● 본 밭 준비 단계 : 배추밭 내부와 주변 잡초 제거
• 비선택성제초제와 벼룩잎벌레 방제용 약제를 동시에 살포
• 아주심기 또는 파종 전 : 토양전면에 살포한 후 로타리 작업
나. 육묘상 방제
● 아주심기 직전 육묘상에서 처리
다. 생육 중 방제
●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적용 약제를 식물체에 골고루 묻도록 3회 이내 살포
라. 병 발생시
● 벼룩잎벌레 완전 방제하고 발병 포기는 즉시 제거하여 땅에 묻거나 태운다음 주변잡초제거
• 땅에 묻기(매몰) : 식물류 1톤당 생석회 40㎏ 살포 후 60㎝이상 복토
• 태우기(소각) : 폐기물관리법 제2조에 따른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소각처리
마. 배추벼룩잎벌레 등록 약제: 터부포스(입)등 등록약제를 살포하시기 바랍니다.
※바이러스병은 병을 일으키는 매개체를 사전에 철저히 예방해야 합니다. 그래서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병을 전염시키는 벼룩잎벌레를 철저하게 방제해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