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권보전지역 개념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프로그램(UNESCO MAB Programme)에서 지정하는 국제지정지역으로 “생물지리적 지역을 대표하면서 생물다양성 보전이 중요한 육상과 연안·해양 생태계”를 뜻한다.
2022년 기준 전 세계 134개국 738곳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총 9곳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MAB는 과거 자연보호만 중시했던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인간과 생물을 모두 고려하여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하여 1976년부터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seserve, BR)’을 지정하고 있다.
생물권보전지역은 ‘보전을 기반으로 한 지역발전 모델’로 2019년 선정된 슬로건은 ‘우리의 생물권, 우리의 미래(Our Biosphere, Our Future)’이다.
생물권보전지역 기능
- 보전(Conservation): 유전자원, 자연지역과 멸종위기에 처한 종, 생태계 및 경관 등을 보전
- 발전(Development): 사회·문화적,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와 인간의 발전을 촉진
- 지원(Logistic Support): 시범사업, 환경교육, 정보교환, 연구 및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지원

생물권보전지역 용도구역
생물권보전지역은 용도에 따라 핵심구역, 완충구역, 협력구역으로 구분
- 핵심구역(Core Area) : 엄격하게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으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은 조사·연구, 영향이 작은 이용(예: 교육) 등을 할 수 있는 곳으로, 국내법으로 보호 받음
- 완충구역(Buffer Area)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이에 인접한 지역임.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 관광,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활동을 위해 이용됨
- 협력구역(Transition Area) : 다양한 농업활동, 주거지, 그밖에 다른 용도로 이용되는 지역임. 지속 가능 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역사회, 관리당국, 학자, 비정부단체(NGO), 문화단체, 경제적 이해집단과 기타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일하는 곳임

국내·외 생물권보전지역 현황
국내 생물권보전지역
국내는 1980년대 MAB한국위원회가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 총 9곳이 지정됨
표를 드래그 하세요
구분 | 지정년도 | 면적(ha) | 비고 |
---|---|---|---|
설악산 | 1982 | 76,749 | '16. 확대 |
제주도 | 2002 | 387,194 | '19. 확대 |
신안 다도해 | 2009 | 323,874 | '16. 확대 |
광릉숲 | 2010 | 24,465 | |
고창 | 2013 | 67,152 | |
순천 | 2018 | 93,840 | 북한 금강산과 동시 지정 |
강원생태평화 | 2019 | 182,815 | |
연천임진강 | 2019 | 58,412 | |
완도 | 2021 | 42,827 |
국외 생물권보전지역
국외 생물권보전지역은 134개국 738개소가 지정됨
표를 드래그 하세요
대륙별 | 국가 수 | BR 수 | 비고 |
---|---|---|---|
아프리카 | 33 | 90 | |
아랍국가 | 14 | 36 | |
아시아와 태평양 | 24 | 172 | |
유럽과 북미 | 41 | 308 | |
라틴아메리카와 카라브해 | 22 | 1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