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왜 완도 인가?
전국 최초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선포식을 통해 해양관광 완도 이미지 제고하며
「바다지킴이 365 기동대 운영」 등 민간단체 중심의 바다 가꾸기 운동으로 건강의 섬 완도를 실현한다.
-
완도군은 265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군도로 이루어져, 리아스식 해안으로 갯벌과 해조류가 숲을 이루고, 바다밑에는 맥반석과 초석이 깔려 있어 자체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다양한 2,200여종의 바다생물이 서석하고 있다.
-
이러한 지형적 여건이 청정한 바다를 유지할 뿐 아니라 완도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은 그 맛과 향이 뛰어나다.
-
군에서는 청정바다 보전을 위해 소하천 정화관리에 유용한미생물(EM)을 활용하고, 농축산업에서는 생명활성수인 바이오기능수를 이용하여 농약이나 화학비료의 사용을 줄여나감으로써 육지 오염원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해양오염 근본원인부터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정착을 위해 관계기관ㆍ사회단체, 양식어업인, 어선어업인 등이 깨끗한 바다 가꾸기에 적극 동참하기로 하였다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선포식 개최
- 슬로건 : 건강海요, 깨끗海요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 일 시 : 2015. 5. 1
- 주요행사내용
- 청정바다 수도 완도 선언
- 청정바다 수도 동참 선언
- 바다지킴이 365 기동대 발대식
- 바다의 헌장 낭독 등
-
이낙연 전라남도지사 축사
-
김영록 국회의원 축사
-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MOU 체결
(세종특별자치시 ⇔ 완도군)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운영 조례」 제정 시행
- 전국 최초 청정바다 수도 완도 보전․관리를 위한 조례 제정
- 지역특성에 맞는 청정바다 보전・관리대책 강화
- 민간단체 주도 활동에 따른 예산 지원 근거 마련
민간단체 청정바다 보전・관리 운동 전개
- 바다지킴이 365기동대 운영 – 12읍면/2,500명
- 어업인 스스로 어업 폐자재 되가져오기 운동 전개
- 1마을 1바다 가꾸기 운동 추진
- 손길이 닿지않은 무인도서 폐스티로폼 수거운동 추진
- 민·관 및 사회단체 합동 해양쓰레기 수거운동 전개
대한민국 청정바다 완도 후속대책 추진
- 완도군 청정바다 수도 완도 보전·관리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 대한민국 청정바다 수도 완도 지킴이 위촉 운영
-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 건설 추진
대한민국 청정바다 완도 상징 조형물 설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