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Question
친환경농업사업비는 인증단계별로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
0 |
Answer
친환경농업육성사업 2010년 사업비는 인증단계에 따라
ha당 유기농 120만원이하, 무농약 100만원이하, 저농약
50만원 이하로 지원할 예정이며, 예산확보에 따라
지원금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추진후 인증실적과 증빙서류에 의거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이니 인증획득 및 증빙서류를 꼼꼼히 준비
하시기 바랍니다.
물품을 구입할 경우에는 반드시 사진을 첨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간이세금계산서는 증빙서류 불가)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군 농산과 또는 읍면사무소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21
|
Question
친환경직불금 어떻게 지원되나요?
|
0 |
Answer
친환경농업실천 농업인에게 초기소득 감소분 및 생산비
차이를 보전하여 친환경농업확산을 도모하고자 지원하는
친환경농업직접지불상업은 사업전년까지 친환경농산물
품질인증을 획득하여 친환경 직불금 지급일까지 품질
인증이 유효한 자를 대상으로 직불금을 지급하며, 신청
기간은 매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농지소재지에
인증서 사본을 첨부하여 신청하여야 하며, 농산물품질
관리원과 민간인증기관의 이행점검 결과에 따라 논과
밭을 구분하여 지급합니다.
지급단가는 논의 경우 ㎡당 유기농39.2원 무농약 30.7원
저농약 21.7원이며, 밭의 경우 ㎡당 유기농 79.4원
무농약 67.4원 저농약 52.4원입니다. 농가당 지급한도
면적은 0.1ha ~ 5.0ha까지이며 필지당 3회까지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군 농산과 또는 읍면사무소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20
|
Question
조건불리직불금은 어떻게 지원되나요?
|
0 |
Answer
농업생산성이 낮고 정주여건이 불리한 지역에 대한 직접
지원으로 농업인의 소득보전과 지역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원되며 완도군은 도서지역으로 전 읍면이 지원
대상입니다.
보조금 지급단가는 2010년부터 밭과 과수원은 ㎡당 50원
초지는 ㎡당 25원을 지원하며 보조금의 30%이상을 마을
공동기금으로 조성하여야 하며, 사업신청은 3월말까지
읍면사무소에 조건불리지역직접지불사업 신청서와 마을
발전계획서를 제출해야하며, 지급요건(농지관리 의무,
마을 공동기금 조성, 마을활성화 실천)을 이행하여야
직불금을 지급받을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군 농산과 또는 읍면사무소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19
|
Question
쌀소득직불제는 어떻게 지원되나요?
|
0 |
Answer
\"쌀소득등보전직접지불금은 고정직불금과 변동직불금으로
구분하여 지급되며, 고정직불금은 휴경, 벼이외 타작물
재배와 관계없이 농지의 형상 및 기능유지 요건을 준수
하면 지급하되(농업진흥지역 안과 밖을 차등지급)
쌀직불금대상농지(1㎡이상) + 휴경면적을 제외한 농가
경작면적(999㎡)이 1,000㎡이상을 경작해야 지급대상
이며, 지급금액은 농업진흥지역안은 ㎡당 74.6원, 농업
진흥지역밖은 ㎡당 59.7원입니다.
변동직불금은 당해연도에 벼를 재배한 농업인에게 목표
가격(170,083원/쌀80kg)과 수확기 전국 평균 쌀 값과의
차이의 85%에서 고정형직불금을 차감한 금액을 지급하게
됩니다. 또한 농약 및 화학비료의 사용기준을 준수 및
의무이행사항 점검시 적격으로 판정 받으셔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군 농산과 또는 읍면사무소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18
|
Question
쌀소득직불제사업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
0 |
Answer
쌀소득등보전직접지불제사업은 1998년 1월 1일부터 ~
2000년 12월 31일까지 논농업에 이용된 농지를 대상으로
매년 4월 15일에서 6월 15일까지 쌀소득등보전직불금
등록신청서 및 첨부서류를 갖추어 농지소재지 관할
읍면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군 농산과 또는 읍면사무소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17
|
Question
유기질비료는 어떻게 지원되나요?
|
1 |
Answer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은 농업인·영농조합법인 또는 농업
회사법인으로서 유기질비료를 직접농산물 생산에 사용
하는 자로서 유기질비료(혼합유박, 혼합유기질, 유기
복합비료), 부산물비료(가축분퇴비, 일반퇴비)에 대하여
국비 1,160원/20kg 정액지원하며, 2010년 7월 1일부터는
유기질비료는 1,500원 부산물비료는 등급별로 700원 ~
1,200원까지 정액 지원합니다.
지방비는 지자체 여건에 따라 추가 지원할 계획이며,
2011년부터는 600원/20kg을 의무부담할 예정입니다.
유기질비료지원 신청은 년초에 지역농협에 신청하여,
사업이 확정되면 지역농협을 통하여 공급하게 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군 농산과 또는 읍면사무소에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16
|
Question
동물병원 개설등록신고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나요?
|
1 |
Answer
동물병원의 구조를 표시한 평면도,장비 및 시설명세서 각 1부, 건물임대계약서(신청인 본인건물이 아닐경우), 수의사면허증사본, 건강진단서, 신분증, 도장을 지참하여 완도군 농산과 축산담당부서를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농산과 축산계(550-5392)로 문의 바랍니다.
|
15
|
Question
동물용의약품 도매상 허가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나요?
|
0 |
Answer
건물임대계약서(신청인 본인건물이 아닐경우), 건강진단서, 관리약사의 약사면허증사본, 법인인 경우 정관, 기업진단기관이 실시한 기업진단서(개인의 경우 영업용 자본액명세서), 운반용차량등 장비보유현황, 신분증, 도장을 지참하여 완도군 농산과 축산담당부서를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농산과 축산계(550-5392)로 문의 바랍니다.
|
14
|
Question
동물약국 개설등록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나요?
|
0 |
Answer
약사면허증사본과 건물임대계약서(신청인 본인 건물이 아닐경우), 건강진단서, 신분증, 도장을 지참하여 완도군 농산과 축산담당부서를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농산과 축산계(550-5392)로 문의 바랍니다.
|
13
|
Question
가축사육업 등록을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나요?
|
0 |
Answer
시설,장비 등의 현황을 기재한 서류 1부와 신분증, 도장이 필요하며 읍,면사무소 혹은 농산과 담당부서에 방문하셔서 가축사육업등록신청서를 작성하신후 접수하시면 검토,확인 후 가축사육업등록증을 작성하여 배부해드립니다. 단, 건축물이 사육시설로 등록되어 있어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접수가 되지 않습니다.
|
12
|
Question
식육점(축산물판매업)을 개업하고 싶은데 무엇이 필요한가요?
|
0 |
Answer
신분을 나타낼수 있는 신분증과 도장, 수수료 1만원, 영업장의 시설내역 및 배치도 1부, 보건소에서 배부하는 식품제조판매업용 건강진단결과서와 영업장이 있는 건축물이 본인의 명의가 아닌 경우 부동산임대차계약서 원본 혹은 사본이 필요합니다. 구비서류를 갖추신 후 농산과 담당부서에 제출하면 서류검토 후 현장실사 및 시설조사를 통하여 서류접수가 완료됩니다.
|
11
|
Question
비파 실생묘와 접목묘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1 |
Answer
실생묘
장점
묘목구입 비용이 적게 소요
묘목 생산기간이 짧음(2년)
단점
나무간에 균일한 품질이 생산되지 않음
초기 결실이 늦고(6~10년) 착과가 불균일함
접목묘
장점
품종고유의 특성이 나타나고 과실 품질이 균일함
초기 결실이 빠름(3~5년)
단점
묘목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
묘목생산에 실생묘보다 1~2년 늦음
|
10
|
Question
비파 10a(300평)당 예상소득은 어떻습니까?
|
0 |
Answer
연마다 과실과 잎 생산량의 차이는 있겠지만 상품화율 및 예상가격 등을 고려하면 10a당 조수익은 7백만원에서 9백만원으로 이뤄질 듯 합니다.
|
9
|
Question
비파 심는 시기와 재식거리는 어떻게 됩니까?
|
0 |
Answer
○ 심는시기
- 봄심기
·겨울철 동해를 잘 받는 지역(지역에 따라 2월 하순~3월 하순)
·뿌리의 활동이 시작 직전이나 완만한 시기가 좋음
- 가을심기 : 겨울철이 따듯한 지역, 비닐하우스 재배
- 심는 구덩이 준비 : 폭 1~1.5m, 깊이 40~50cm
○ 재식거리
- 품종, 토양비옥도, 경사정도, 과원상태에 따라 재식거리 달리 식재
- 초기생육촉진과 수량확보를 위해 가능하면 밀식재배 후 간벌이 유리함
- 밀식재배 2~3m간격(250주~166주)
- 일반적인 재식거리 : 5× 2, 5× 2.5, 5× 3m(66, 80, 100주),
6× 2, 6× 2.5, 6× 3m(83, 66, 55주)
3.5× 3.5, 7× 3.5m(82, 40주)
- 성목시 거리 재식거리가 5~7m(20~40주)간격
|
8
|
Question
비파 접목묘 가격은 얼마입니까?
|
1 |
Answer
2009년 전에는 비파 묘목 공급이 부족하여 접목묘 1주당 2만원 이상을 호가하였습니다. 2009년에는 농가 부담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으로 비파 재배농가를 육성하기 위하여 행정·지도·농가 협의를 추진하여 주당 8,000원으로 결정하여 추진하였습니다. 2010년 이후에도 주당 8,000원 내에 추진토록 할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