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조류(marine algae)는 해수에 서식하는 광합성 식물로써 미세조류와 거대조류가 있는데,특히 거대조류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유용한 식용, 사료, 비료, 의약품, 공업용 원료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수산자원의 먹이,산란ㆍ번식장으로도 활용되어 왔음
- 조류(藻類, algae)는 육상식물을 제외한 모든 광합성 생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어떤 특정한 분류군을 지칭하는 분류학적 용어가 아니라 매우 다양한 분류군을 포함하는 광의적인 일반 용어임
- 조류는 해수와 담수에서 생육하는지에 따라 해조류(marine algae)와 담수조류(fresh water algae)로 나눠짐
- 생태학적으로는 미세조류(micro-algae)와 대형 해조류(macro-algae)로 분류됨
-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는 조류(藻類)는 통상 약 4만 여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또 다른 자료에 의하면 이보다 4~8배 정도 많은 미기록된
종들이 존재한다고도 알려져 있음(Norton et al. 1996) - 조류의 대부분은 식물플랑크톤이라 불리는 단세포성 미세조류에 속하는데, 이들은 해양생태계의 기초 생산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다세포성 거대조류는 빛깔을 바탕으로 녹조류(green algae), 홍조류(red algae), 갈조류(brown algae)로 나뉘며, 이들은 통상 해조류(seaweed)라고 부르기도 함. 미세조류는 육상식물과 비슷한 광합성을 하지만 물과 이산화탄소와 다른 영양분이 있는 해양에 서식하므로 태양에너지를 바이오매스로 전환함에 있어 더욱 효과적임
- 현재 인간이 이용하는 해조류의 종류는 약 500여 종에 이르며 산업적으로 중요한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김,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개우무 등이 있음
거대조류와 미세조류의 구분
표를 드래그 하세요
구분 | 미세조류(Microalgae) | 대형 해조류(Macroalgae) |
---|---|---|
크기 | 현미경적 크기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크기 |
분류군 | 갈조류를 제외한 모든 분류군에 속함 |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대별 |
서식환경 | 해양 및 담수 | 대부분 해양 |
대표종 | 담수산(Chiorella, Scenedesmu 등) 해수산(Tetraselmis, Nannochloropsis 등) |
미역, 다시마, 모자반, 김, 우무가사리, 파래 등 |
생산방식 | 실내에서 배양조 이용 | 현행 해조류 양식방법(건홍식 등) |
주 대상성분 | 지질 | 탄수화물 |
자료 :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농림수산식품부 양식관리과 회의자료(2009. 4)
해조류 분포도
이들의 세계적인 분포는 위 그림과 같으며, 해조류 중에서 양식되고 있는 분류군은 5개 속에 국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홍조류에 속하는 김속(Porphyra), 유큐우마속(Eucheuma) 및 꼬시래기속(Gracilaria)과 갈조류에 속하는 다시마속(Laminaria) 및 미역속(Undaria)임.